원문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generally believed that the sculpture in King Wonseong’s tomb was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after the King’s death, which has yet to be any doubt. Even in case of king Wonseong’s tomb sculpture, the buried person was so reliable that the tomb had been regarded as a basis for royal tomb sculptures in the early 9th century. The sculpture period of the tomb, however, was not necessarily consistent with the death of the king buried. It was possible for the sculpture of the tomb to be manufactur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at the same time, but in a rapidly changing period especially like in the late Shilla it would not be easy to make both works done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who the next King would be, the situation could be highly flexible, and in many cases, the sculpture of the tomb was added 10s of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king according to the political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current king.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was king Wonseong’s tomb. King Wonseong’s tomb started to be constructed right after the death of the king, but 60 years since the king’s death its sculpture was manufactured in the king Gyeongmun period. This paper reinvestigated the period of king Wonseong’s tomb sculpture through “Sungboksa inscription” that Choi Chi Won left. In 799, after the death of king Wonseong, it was not easy to move the existing Goksa and to construct the tomb on top of it. Goksa was not simply pulled down but moved to another place 1.5km away from the origin to have to build a new one as well and to construct the tomb for king Wonseong after groundmaking. At the time, it was not easy to perform several constructions at one time. Also, after the death of king Wonseong, the succeeding period of king Soseong and king Aehjang was political chaos, and so it was not easy to devote to making king Wonseong’s tomb with serenity.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in the period of king Gyeongmun was different. What he needed was to secure legitimacy. Because he was a son‐in ‐law of king Heonahn, not a lineal relation from the royal family, the meaning of king Wonseong was special to him, and for this, what he could do was to repair and improve king Wonseong’s tomb and to rebuild Goksa that was originally the supplication temple for king Wonseong’s tomb. I think that through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received view of consistency between the royal tomb construction and its sculpture. Because king’s tomb are supposed to build immediately after the death but the tomb sculpture could have a lot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urrent of the times.
한국어
지금까지 원성왕릉의 조각이 원성왕 사후 왕릉조영과 함께 제작되었을 것이라 고 여겨왔고 어느 누구도 이를 의심하지 않았다. 심지어 원성왕릉 조각의 경우 피 장자가 확실하기 때문에 9세기 초 왕릉조각의 기준 작품으로 삼기도 하였다. 하 지만 왕릉의 조각은 피장자인 왕의 사망시기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왕릉의 조각은 왕릉과 함께 조성될 수도 있지만 특히 하대신라와 같은 격변기에는 동시 에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다. 다음 왕이 누구인지에 따라 상황은 크게 달라지며, 많은 경우 왕릉 조각은 왕의 사후 수십 년이 지난 후 후대 왕의 정치적 입지와 여 건에 따라 추가되었다. 그 대표 예가 바로 원성왕릉이다. 원성왕의 능은 사후에 바로 조영되었지만 능 의 조각은 그로부터 60여년이 지난 경문왕대에 제작되었다. 이 글은 최치원이 남 긴 <숭복사 碑銘>을 통해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시기를 다시 생각해 본 것이다. 799년 원성왕 사후 기존의 鵠寺를 옮기고, 그 위에 능을 조영하는 것만으로도 공 사는 만만치 않았다. 곡사를 단순히 허물기만 한 것이 아니라 1.5km 떨어진 지점 으로 옮겨 새롭게 지어야 했고, 원래의 곡사 자리는 다시 터를 닦아 원성왕릉을 조영하여야 했다. 당시 이 몇 가지 일을 한꺼번에 치르는 공사는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원성왕 사후 소성왕, 애장왕대에 이르는 시기는 정치적으로 혼란기여서 차분히 원성왕릉을 꾸미는 일에 몰두할 수 없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반면 경문왕대의 상황은 달랐다. 경문왕에게 필요한 것은 정통성 확보였다. 헌 안왕의 사위로 직계 혈통이 아니었던 그에게 원성왕이 주는 의미는 특별했고, 이 를 위해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원성왕릉을 改修하는 일과 원성왕릉의 願刹인 곡사 를 중창하는 것이었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왕릉조각의 제작시기가 왕의 사망시 기와 일치한다고 보는 기존의 통념은 수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왕 릉은 왕의 사후 즉시 조영하지만 왕릉의 조각은 시대 상황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있 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Ⅱ. 원성왕의 정치세력과 佛事활동, 그리고 그 후
Ⅲ. <숭복사 비명>으로 본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시기
Ⅳ. 경문왕의 정치적 안정과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