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사논문

The Tridaṇḍi-sūtra and the two Lohitya-sūtra s in the Gilgit Dīrghāgama manuscript

원문정보

T

Choi, Jin kyou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1990년 후반 영국 런던의 한 고서적상에 장아함경 산스크리트 사본이 유 입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스코옌 컬렉션 연구 프로젝트의 구성원, 그 가운데에서도 뮌헨 대학의 옌스-우버 하르트만 교수(Prof. Dr. Jens-Uwe Hartmann)가 주축이 되어 그 연구 결실이 천천히 맺어져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물론 해외 연구자들에게도 그 성과가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는 필자가 독일 뮌헨 대학에서 박사논문 주제로 그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이 사본 프로젝트와 필자의 연구 내용을 소개하고 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지난 근 20년 간 장아함경 산스크리트 사본 프로젝 트가 거둔 성과와 현 시점의 연구 현황을 간략제시하고, 필자가 담당하고 있는 세 경전을 관련 문헌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I. General information on the Gilgit Dirghagama manuscript
 II. The Structure of the Sanskrit Dirghagama, Dighanikaya & Chinese Dirghagama
 III. The Silaskandhanipata and the 'Discourse on the Path of Practice'
 IV. More parallel texts of the three sutra s and works onthe "Srama.yaphala-sutra"
 V. Themes of the three sūtras
 VI. Importance of the three texts and further tasks
 Abstract

저자정보

  • Choi, Jin kyoung Graduate Student,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