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I] 저항적 지식인의 ‘민족’담론: 그 재현 전략과 한계

1970년대 ≪창작과 비평≫ 지식인 집단의 이념적 계보와 민족문학론

원문정보

Ideological Lineage of Changbi Group in 1970s and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김 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argue that analysis of Ideological lineage of Changjakgwabipyung(Changbi)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Changbi Group is Firstly, the early days of Changbi Group was alliance of anti right-wing writers. The early stage of Changbi Group was negative to tradition. After late 1960s, they identifed ‘nation’ as their key concept accepting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Secondly, Changbi Group was ‘Intellectual Alliance’ including critic, historian, social scientist and writers represented National Literature. They pursued universality of Korea by emphasizing Donghak, Silhak and March Movement and 4.19 Uprising.
Thirdly, Changbi group identified their role liberation character of Silhak. They regarded their identity as critical intellectual(writer) by emphasizing writer of Silhak in late Choson peoriod. In conclusion, the fundamental ideological base of Changbi Group was tensions between real world and literature. That is to say, they emphasized literature itself could not contribute real change of Korean society.

한국어

이 글에서는 문학, 비평 그리고 역사학 등 분야에서 각론 차원에서만 다뤘던 ≪창비≫를 구성했던 지식인과 이들이 내부적/외부적으로 지향했던 이념적 계 보를 종합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70년대를 전후로 ≪창비≫의 주요 필진이었던 지식인들의 구성과 민족문학과 역사학(내재적 발전론), 번역 및 사회과학 그리고 자립경제론/민족경제론 등을 통해 드러나는 이념적 계보를 각 분야별 지식인과 이들이 쓴 글을 통해 살핀다. 다음으로 이 들이 구성했던 대안적 이념의 특징과 이들이 사유했던 운동주체를 검토할 것 이다. 다만 본 연구는 그간 이뤄진 소설, 시 그리고 문학비평 분야에 대한 깊 이 있는 독자적인 연구보다 ≪창비≫가 당대 현실과 문학 텍스트 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양상과 그 속에서 자리 잡은 이념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창작과 비평 지식인 집단의 이념적 지향
  1. ≪창비≫의 창간 배경
  2. ≪창비≫ 지식인의 구성
  3. 편집 방향의 변화
 III. ≪창비≫의 이념적 계보와 운동 주체
  1. 이념적 계보
  2. 민족문학론과 내재적 발전론
  3. 민족/자립경제
  4. 운동주체
 IV. 나오며
 Abstract

저자정보

  • 김 원 Kim, Won.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