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Obesity Level, Blood Lipids and Obesity Stres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mindfulness meditation on obesity level, blood lipids & obesity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ly 30(15 in the experimental group, 15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1 times per week of meditation-respiration for 8 weeks. They were assessed for Body Mass Index, Body Fat, WH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obesity stress of uncomfortable body, own efforts for over come obesity, mental stress of obesity throughout pre-post testing in both the meditation-respi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two-way ANOVA.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Body Mass Index decreased i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h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decreased i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he obesity stress of uncomfortable body and mental stress of obes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mary, This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meditation may have benefit on obesity and obesity stress level partly.
한국어
이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이 개인의 비만도, 혈중 지질 및 비만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지방율(% Body Fat), 허리-엉덩이 비율(waist-hip ratio, WH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비만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체상 불편함에서 오는 비만 스트레스, 비만 극복을 위한 자신의 노력, 비만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별 및 시기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산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이용하였고, 각 항목별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엉덩이 비율 등을 측정한 결과 체질량지수는 실험집단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체지방률이나 WHR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다. 둘째, 혈중 비만요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등을 측정한 결과,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은 실험집단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Triglyceride과 HDL-Cholesterol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비만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신체상 불편함에서 오는 비만 스트레스와 비만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는 실험집단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따라서 마음챙김 명상을 꾸준하게 지속하는 것은 비만을 예방하고, 비만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며, 비만의 개선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및 방법
3. 실험절차 및 내용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만도 비교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혈중 지질요소 비교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만스트레스 비교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