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erspectives on Human Capital in Transition

원문정보

변혁기 인적자본의 이론적 제 측면

Kang-Sik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temporary structural change of developed economies i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in many respects but in one: it vigorously transforms the world as we know it, compelling people to face new, perhaps less certain reality. Structural changes inevitably bring about demand for knowledge and skills different from those required in the era before.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skilled artisans protested against technologies that made crafts acquired through years of learning redundant. Nevertheless,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of those nineteenth century artisans is just a fraction of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in skilled labor today.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structural change of today is far costlier than any of those of the past. The degree of specificity of human capital is one of the central questions in labor economics. This is not surprising becaus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relevant from several policy and management perspectives. First, the more general human capital is, the less costly are job displacements due to firm closures and shrinking. This is because human capital generality means that the skills learnt at the pre-displacement job are also useful in a larger number of alternative jobs. This additionally suggests that countries with more portable skills across jobs should have smoother labor market adjustments in times of technological change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division of labor. Second, the more general human capital is,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firms to tie employees to certain job positions. For instance, for more general jobs firm investments in training are less effective means of binding employees to their firms.

한국어

교육 등 능력개발활동을 통해서 축적된 생산력은 결국 노동소득과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인적자본의 개념은 산업교육의 투자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인적자본에 대한 중요성은 16∼17세기의 William Petty와 Adam Smith 시대를 거치면서 미약하나마 경제분석에 도입되기 시작하였지만, 인적자본의 개념은 Schultz 경제 분석에 본격적으로 도입․사용되기 시작한 1950년대 말부터 비로소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게 되었다. 인적자본에 대한 이론들의 초기의 설명은 교육과 훈련이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그들에게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 줌으로써 그들의 평생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었다. 그 시기에 인적자본의 개념은 경제학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노동시장의 분석, 임금결정, 그리고 다른 경제학 분야(예를 들면, 경제성장분석, 건강지출비용분석, 이주인구 연구 등)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인적자본과 교육투자의 개념은 주로 Schultz and Becker의 노력에 의하여 교육에 대한 경제적 사고에 있어 견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인적 자본에 대한 생각은 인간이 소유한 기술, 지식, 태도가 자원이며, 이러한 인적자본은 사회의 전체가용자원 중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아이디어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인적자본에의 투자는 현장훈련(on-the-job-training), 현장경험, 직업탐색의 과정, 이주, 연수 등의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교육은 인적자본형성의 과정이며,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인적자본론에 대한 일부의 비판도 있다. 즉 교육은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들의 생산능력을 만들어 내는 타고난 고도의 능력과 개인 특성을 가진 각 개인들을 걸러내는 선발장치로 활동할 뿐이라는 비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적자본의 여러 측면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인적자본과 경제성장, 기술, 국제 아웃소싱, 기술기반 접근방법, 전이가능성을 초점을 두어 그 관계 및 시사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Basic Concepts
 III. Perspectives on Human Capital
  1. Human Capital and Economic Growth
  2. Human Capital and Technology
  3. Human Capital and International Outsourcing
  4. Change of Perspectives: The Task-based Approach
 IV. Conclusion: Transferability of Human Capital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Kang-Sik Kim 김강식. Professor of Management, Korea Aerospace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