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별미술치료가 소아암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An Effect of Individual Art Therapy on Pediatric Cancer Infants’ Ego-Resilience

김현지, 방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effect of individual art therapy on pediatric cancer infants’ ego-resilience. The questions for the study is designed to find the effect of individual art therapy on the entire level of ego-resilience and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such as affection, directedness and self-contro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composed of 2 boys and 1 girl under 45T ego-resilience point in K-PRC who are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in 5year-maintenance treatment and have repeatedly inpatient and outpatient treatment. A program was conducted 1 session a week, 16 sessions in total from 16, May to 25, Oct, 2011. An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For the study tools DECA, Ego-Resilience Scale that was developed by LeBuffe and Naglieri(1999), and adopted by Go, Young Hee(2010) was utilized. With this tool a chang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zed. A result of a change in examination of the entire level of ego-resilience revealed that 3.05 point in pre-test was increased by 3.60 point in post-test. In a quantitative appraise a positive reaction was shown because the entire score of ego-resilience was increased more in the last session than in the first session. In a sub-factors of ego-resilience such as affection, directedness and self-control in a qualitative assessment and change of the score was positively effective. Such the results implies that the individual art therapy can be utilized for an effective intervention model in improving pediatric cancer infants’ ego-resilie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미술치료가 소아암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 는데 있으며, 연구문제는 자아탄력성 전체 수준에 미치는 효과와 자아탄력성 하위요 인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소아 암 진단을 받고 5년 유지치료 기간 내에 있는 환아들로 입원과 통원 치료룰 반복하는 유아들이며, K-PRC에서 자아탄력성 점수가 45T 이하인 남아 2명, 여아 1명으로 선정 하였다. 프로그램은 2011년 5월 16일부터 2011년 10월 25일까지 주 1회씩 총 16회기 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분석은 양적 결과와 질적 결과의 두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LeBuffe와 Naglieri(1999)가 개발하고 고영희(2010)가 번안한 자아탄력성 척도 DECA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검사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자 의 질적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아탄력성 전체 수준의 변화는 사전검사 점수 3.05에서 사후검사 점수 3.60으로 높아졌으며, 연구자의 질적 평가에 의해서도 첫 회기보다 마지막 회기에서 자아탄력성 전체 점수가 높아져 개별미술치료가 소아암 유아의 자아탄력성 전체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에서도 점수의 변화와 연구자의 질적 평가에 의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 별미술치료가 소아암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 모델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자아탄력성
  2. 소아암 유아와 미술치료
  3. 자아탄력성과 미술치료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대상
  2. 연구 도구
  3. 개별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Ⅳ. 결과 및 해석
  1. 개별미술치료가 자아탄력성 전체수준에 미치는 효과
  2. 개별미술치료가 소아암 유아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에미치는 효과
  3. 그림검사(K-HTP, KFD) 사전 사후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Ⅴ.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지 Kim, Hyeon-Ji. 나무소리 아동청소년상담센터 수석연구원, 영남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
  • 방준희 Bang, Jun-Hee. 대구한의대대학원 예술언어치료학과 임상미술치료 전공, 대구과학대 보건교육사과 출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