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 汝州 張公巷窯의 運營時期와 性格 問題

원문정보

The Period and Nature of the Zhanggongxiang Kiln of Ruzhou

중국 여주 장공항요의 운영시기와 성격 문제

李喜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hanggongxiang kiln in Ruzhou is one of the kiln sites that have received serious scholarly attention since the turn of the twenty first century. However, its period and nature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eladon pieces from Zhanggongxiang kiln by comparing them with the porcelains and silverwares from the other kilns, storage pits and tombs of the Song (960-1279), Jin (1115-1234) and Yuan (1272-1368) dynasties. According to the excavators of Zhanggongxiang kiln, T4 where the most numerous and various artifacts from the kiln were unearthed consists of ten sedimentary strata. Of the ten strata, the fourth through sixth laye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kiln, and the sixth and the fourth layers were formed in the earliest and latest phases of the kiln, respectively. H101 in the sixth layer requires special attention since it presents critical evidence in determining when the kiln was established, with its large quantity of celadon samples from the early phase of the kiln. Excavated from H101 were the types of celadon which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later layers of the kiln, such as oblique-belly bowls, dishes of lobbed rim, vases with dish-shaped mouth, goose-neck vases and vases with constricted neck. The shapes of these celadon types closely resemble those of the silverwares from the gold and silver object storage pit of Pengzhou City in Sichuan. Considering that these silverwares were produced between 1180 and 1210, Zhanggongxiang kiln must have been set up during the late Jin period. Furthermore, the kiln ceased to be in use around the fall of the Jin dynasty based on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celadon from the fourth layer and H88 that represent the last phase of the kiln. Zhanggongxiang celadon displays quality as excellent as that of the famous imperial ware of the Song dynasty, Ru celadon. Moreover, all the defective products from the kiln were smashed to maintain the quality. This kind of quality control was often conducted in the kilns that produced imperial wares, of which the Ru kiln of the Northern Song and the Guan kiln of the Southern Song were most representative in 中國 汝州 張公巷窯의 運營時期와 性格 問題301 this period. The way in which Zhanggongxiang kiln was established and produced imperial wares displays a closer affinity with the Guan kiln than with the Ru kiln. Thus Zhanggongxiang kiln must have been the Guan kiln of the Jin dynasty established during the late Jin period.

한국어

汝州 張公巷窯는 금세기에 접어든 후 연구자들의 가장 큰 관심을 끌어온 窯場 가 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 장공항요의 年代와 性格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고 에서는 장공항요지의 출토유물을 宋·金·元代의 요지, 窖藏 및 무덤 등에서 출토된 다른 요장의 瓷器 및 銀器 등과 비교·검토하여 장공항요의 연대와 성격을 추적하였는 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공항요지의 발굴보고자에 따르면, 이 요지에서 장공항요와 관련된 유물이 가장 다 양하고 많은 유물이 출토된 T4의 경우, 모두 10개의 퇴적층이 확인되었는데, 이 가운 데 장공항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들은 4~6층이다. 제6층이 장공항요지의 가장 이 른 시기에 형성된 것이고 제4층이 가장 늦은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특히 제6층을 파 서 만든 H101은 장공항요 초기의 청자표본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장공항요의 설립시 기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H101에서는 장공항요의 후기 층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여러 기종이 출토되었는 데, 敞口折沿碗·葵口板沿盤·紙槌甁·鵝頸甁·撇口圓壺 등이 그것들이다. 이 기종 들의 기형을 자세히 관찰한 결과, 四川彭州宋金銀器窖藏 출토 銀器들과 가장 흡사하 다. 이 銀器들은 1180~1210년경에 제작되었으므로, 장공항요는 金代後期에 설립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窯址의 가장 늦은 시기의 퇴적층인 제4층과 H88 등에 서 출토된 기종들의 조형적 특징을 통하여 볼 때, 장공항요는 金의 멸망과 함께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장공항요에서 생산한 청자는 汝窯瓷器에 버금갈 정도로 품질이 높다. 그리고 품질 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 殘次品은 모두 깨뜨려버렸다. 이러한 현상들은 당시 어 용자기를 생산하던 요장에서 흔히 관찰된다. 이 시기에 어용자기를 생산한 대표적인 요 장으로 북송의 여요와 남송관요를 꼽을 수 있는데, 장공항요의 설립과정 및 어용자기의 제작양상은 여요보다는 남송관요와 훨씬 더 유사하다. 이상의 검토를 통하여 볼 때, 장 공항요는 금대 후기에 설립된 金代官窯라고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I. 문제의 所在 - 장공항요 연구의 현상과 문제점
 II. 장공항요지 퇴적층의 해석
 III. 장공항요의 운영시기 - H101 출토 청자의 분석을 중심으로 
 IV. 장공항요의 성격 문제 -장공항요는 金代官窯였는가
 V. 나머지말
 참고문헌
 Abstract
 中文提要

저자정보

  • 李喜寬 이희관. 西江大學校 講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