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Personal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 total of 126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100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had more effects o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did. Second, the subject instruction, the guidance,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 among personal teacher efficacy's sub-variables had many effect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d a big influence on it, too. Third, it was showed that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d an explanatory power on personal teacher efficacy's variables. Fourth, it was showed that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was slight relatively compared with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potential variables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Fifth,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it was identified that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through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lso,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personal teacher efficacy. It can be interpreted that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re important parameter for explain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한국어
이 연구는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00개 학교에 1,260부의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교과지도, 생활지도, 대인관계가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집단적 교사효능감도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에 대해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건강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고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수업전문성에 대한 학교조직건강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 학교조직건강
2.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집단적 교사효능감
3. 수업전문성
4.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모형
2. 연구대상 및 표집
3.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1.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영향
2.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