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시지각적 개념 공유화 방안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How to Share Visual-Perceptual Concepts of the Editorial Design in School Textbooks - Focusing on the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Following 2007 Revised Curriculum -

임헌혁, 최재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good textbook is not just a teaching aid for class: it should be something that can make students see, feel and have fun about learning as well as cultivate their knowledge. Improving learning contents in the textbook is not enough to achieve this goal: this can only happen when we effectively establish a design system in this regard and apply nice and easy visual descriptive forms to it. This study has selected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mong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that were newly developed in 2010 following revisions in 2007 to analyze their contents by editorial design factor and conduc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more systematic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 designs in the future and with ways forward for further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ved the following: textbook development in the future should be differentiated in general from that of the existing textbooks, under a broad proposition of "quality enhancement."; for this objective, visual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such as photographs, illustrations and icons should have realistic and appropriate bases of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s, textbooks should carry real-life-based subject matters and be solidly described based on the principles applicable to the texts. In conclusion, it is not advisable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s delegated to the writing team only: teams in charge of design, editing and proofreading as well as the supervisory author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establish a efficient system of cooperation so that design can be developed based on understanding, applying a form of storytelling in the proces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at textbooks in the future b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through an efficient editorial design to be easily read and understood and that learning contents be made more systematic to cultivate creativity in learners and help them effectively cope with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한국어

좋은 교과서란 수업을 위한 단순 목적의 교재로서가 아니라 지식을 배양시킬 뿐만 아니라 보고, 느끼며, 학습에 대한 즐거움까지도 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를 위해서는 교과서 학습 내용의 합리적 개선 뿐 만이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편집디자인의 체계를 효율적으로 확립하고 수월성 있는 시각적 서술 형식이 접목 되어야만 가능하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0년 새롭게 개발된 국정 도서 중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편집 디자인의 요소(Factor)별 관점에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황과 개선방안을 종합적 시각에서 고찰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디자인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의 결과로서,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은 ‘질적 수준 향상’ 이란 큰 명제 하에 기존 교과서와의 전반적인 차별화가 시도되어야 하며, 그를 위해서 사진, 일러스트, 아이콘과 같은 과학 교과서의 시각자료는 사실적이고 타당한 분석의 근거를 가져야 하며, 학습 내용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실생활 중심의 소재와 원고 내용에 대한 원리를 바탕으로 입체적으로 묘사되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 개발은 집필팀에만 의존하여서는 안 되며, 집필팀, 디자인팀, 교정·감수팀, 관리 감독기관인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원활한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스토리텔링 형식이 접목된 이해 중심의 디자인 개발이 병행되어야 함을 결론으로서 도출하였다. 아울러 앞으로의 교과서는 효율적인 편집디자인을 통해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수용자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창의력을 길러주고 정보화·지식기반 사회에 능률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 체계화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의의
  2.2.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
 3. 연구결과 및 논의
  3.1. 판형 분석
  3.2. 레이아웃 분석
  3.3. 타이포그래피 분석
  3.4. 색도 분석
  3.5. 시각자료 분석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연구의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헌혁 Im, Hun Hyouk.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시각정보디자인학과 교수
  • 최재혁 Choi, Jae Hyuk. 신구대학교 그래픽아츠미디어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