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每日申報』소재 이해조 판소리 산정(刪正) 연구 - 근대적 변환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Lee Hae jo’s Pansori digest Serialized in Maeil Sinbo

『매일신보』소재 이해조 판소리 산정(刪正) 연구 - 근대적 변환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

배정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the subject of Pansori digest of Lee Hae-jo that was published in Maeil Sinbo(每日申報) to demonstrate the timely implication and effect in this work. In particular, the discourse has been undertake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ansori digest of Lee Hae-jo is the 'digest' work on the basis of Pansori lecture of master Gwangdae that was published in newspaper media in the Maeil Sinbo. Pansori digest apportioned on the first page has the implication that it has changed the verbal text of master Gwangdae into modern print text for the subject of mid-class or higher level of readers who are familiar to the Chinese characters. This is related to the interest on ‘old drama(舊劇)’ and its improvement and it also reflects the drive of author to reproduce the lyrics of Pansori and its music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indication of ‘Geumjeonjae(禁轉載)’ is assured that Pansori digest of Lee Hae-jo is very modernistic reading material existed under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blishing culture of the time. Consequently, Pansori Panjeong of Lee Hae-jo activated the old drama performance that had been made in Gwangmudae, Jangansa, Dansangsa and the like and took an important role to lead the Renaissance of printed old novel in the single copy publishing market. Pansori digest of Lee Hae-jo is the text that may confirm effectively for the modern acceptance and change trend of classic literature.

한국어

이 논문은 『每日申報』에 연재된 이해조 판소리 산정(刪正)을 대상으로 삼아, 이들 작품이 지닌 당대적 의미와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이 명창 광대의 판소리 강연(講演)을 바탕으로 한 ‘산정(刪正)’ 작업이자, 『每日申報』라는 신문 매체에 수록된 연재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每日申報』의 1912년 체제 변화에 따라 이해조는 1면에 판소리 산정을 4면에는 신소설을 동시에 연재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판소리 산정은 신소설과는 달리 주로 한자에 익숙한 중류 이상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기획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판소리 산정은 명창광대의 구술(口述) 텍스트를 근대적 활자 텍스트로 변환시켰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당시 유행하던 ‘구극(舊劇)’에 대한 관심과 그것의 개량과 관련이 있으며, ‘음란천착’해진 판소리를 산정하여 이를 정전(正典) 텍스트로 바꾸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또한 「江上蓮」부터는 판소리 산정을 한글 중심의 표기로 바꾸는 한편 전통음악에서의 장단 표기를 시도하여 판소리가 지닌 서사성과 음악성을 동시에 표현하고자 했다. 그밖에도 「江上蓮」, 「燕의脚」, 「兎의肝」에는 제목 아래 ‘금전재(禁轉載)’라는 표기를 추가하였는데, 이를 통해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이 당대의 출판문화와 밀접한 관련 하에 존재하는 근대적인 독서물(讀書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은 당시 광무대, 장안사, 단성사 등에서 이루어지던 구극 공연을 활성화시켰으며, 단행본 출판시장에서 활자본 고소설의 부흥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은 신문이라는 근대적 출판 매체에 연재된 읽기 텍스트라는 점에서 기존의 판소리와는 구별되며, 단행본 역시 근대적 출판 기구와 제도를 통해 유통되었다는 점에서 고전 문학의 근대적 수용과 변모 양상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임에 분명하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판소리 산정의 『每日申報』연재 양상
 3. 판소리 산정의 의미와 효과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정상 Bae, Jeong-sang. 연세대(원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