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Особенности семейных отношений сахалинских корейцев

원문정보

사할린 한인의 가족제도의 특징

Пак Сын Ы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Если проследить жизненный путь корейца с самого рождения и до смерти, то можно заметить, что он живёт по законам конфуцианства.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в семье, обществе и государстве основаны на конфуцианской идеологии. Основополагающей идеей в морально-этических воззрениях этого учения является мысль о трёх началах и пяти нормах человеческих отношений – самган орюн. Конфуцианство считало важным сосредоточить внимание на образовании и воспитании, соблюдении правил поведения и нравственности. Во все времена корейцы поклонялись чувству долга и самовоспитанию и самообразованию и при возникновении опасности для родины проявляли патриотизм и самопожертвование. В корейских семьях всегда существовали родительская любовь и почтительное отношение к родителям. Это давало возможность корейцу выбрать самый правильный путь в нравственном воспитании подрастающего поколения.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что самым главным критерием в этом деле является личный пример самих родителей. Из поколения в поколение передавалась одна из главных национальных черт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 стремление дать детям образование при любых условиях, где бы они ни находились. Большое внимание уделялось трудовому воспитанию, поддержанию строгой дисциплины. Первые корейцы попали на Северный Сахалин в годы, когда остров был каторгой См. Кузин А.Т. Переход корейцев в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е пределы росси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 Ю-Сахалинск, 2001. С. 49. Бок Зи Коу. Корейцы на Сахалине. – Ю-Сахалинск, 1993. С. 18. . Ежедневный труд их был борьбой за выживание. Корейские переселенцы были малограмотны, и им было особенно трудно на чужой земле. Дети наравне с взрослыми учились преодолевать трудности. На Карафуто Так называлась часть Сахалина южнее 50-ой параллели, отошедшая по Портсмутскому договору Японии после поражении России в русско-японской войне 1904-1905 гг. корейцы были насильно завезены в конце 30-х годов XX век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из южной части Кореи. Это были молодые крестьяне, у которых имелось начальное образование, да и то не у всех. У себя на родине они трудились на клочке земли от зари до зари, чтобы, вырастив скудный урожай, отдать большую долю японцу – хозяину земли. Образование для них было несбыточной мечтой. И их дети – сахалинские корейцы второго поколения с молоком матери впитали ту мораль, по которой жили их предки: трудолюбие, взаимовыручку и сыновнюю почтительность не только к своим родителям, но и ко всем старшим по возрасту. К сожалению, у нынешних детей – сахалинских корейцев третьего-четвертого поколений во многом тот корень, стержень, который передавался от предков к потомкам, начинает разрушаться. Не зная языка и культуру родителей, воспитываясь в совершенно другом культур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становятся невосприимчивы к тем ценностям, которые проповедовали предки на исторической родине и на Сахалине. Но это не значит, что корейские дети на Сахалине совершенно лишены чувства сыновней почтительности хё. Несмотря на то, что не у кого стало учиться традиционным нормам поведения, они как бы бессознательно следуют тем принципам уважения к старшим людям, которые им передали предки вместе с кровью и генами.

한국어

가족은 가장 기본적인 사회 단위이다. 혼인을 통해 가족이 구성되고 자녀들이 태어나면서 가정은 성장한다. 가족은 경제 단위인 동시에 심리적 안정을 위한 안식처 역할을 한다. 모든 사회에서 가족이 존재하지만 그 의미나 성격은 사회마다 다르다. 또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가족의 의미는 재해석되고 재규정된다. 유교의 도덕규범 가운데 가장 중요한 2가지 덕목이 군주와 부모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가리킨다. 충과 효의 동일성은 가부장적 가족 내에서 부모의 권위에 복종하는 정신태도와 집권적 정치체제 내에서 군주의 권위에 복종하는 정신태도가 같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가정생활 속에서 부모의 권위에 복종하는 정신자세가 길러지면 자연히 관료가 되어서도 군주의 권위에 복종하는 정신자세가 된다는 것이다. 서구의 근대적 가족이론 시각에서 보면 한국의 가족은 상당히 독특한 모습으로 비쳐질 수 있다. 광복 이후에는 유교 전통과 급격히 단절되면서 전통 유교적 가족제도가 일시에 붕괴됐다. 1970년대 이후에는 빠른 산업화 과정에서 농촌 중심의 공동체적 가족문화가 도시 중심의 핵가족 문화로 급격하게 전환됐다. 현재도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가족의 모습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기러기 아빠로 대변되는 이산가족, 세계 최고를 기록하는 이혼율,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 등은 더 분화된 핵가족의 모습으로 바라볼 수 있다. 이처럼 빠르게 변하는 가족의 모습 속에 아직도 전통의 공동체적 모습이 잔존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빠른 근대화의 진척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가족주의가 아직도 그 위력을 잃지 않고 있다. 특히 직계가족 중심의 배타적 가족주의가 아직도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의 가족문화는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가 뒤섞여 있는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21세기 한국가족의 형태는 근대 혼인가족을 벗어나 다양해지고 있다.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동거・사실혼가족, 동성커플, 다문화가족 등의 증가는 우리 사회에 이른바 "정상가족"의 범주 외에 다양한 가족이 존재함을 사회적으로 가시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의 가족 관련 법제는 '법률혼'과 혈연 중심의 '정상가족'을 기본 모델로 하고 있어, 정상가족의 범주 외에 존재하는 가족을 둘러싼 법적 문제를 다루는데 한계가 있다. 새로운 형태의 가족들의 출현과 증가는 우리에게 기존의 가족의 개념을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가족의 개념을 재구성할 것인지, 국가와 가족의 관계 맺기는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등에 대한 입체적 고민을 요구하고 있다. 한인의 가족관계 한국의 가족생활은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 한국가족의 특징을 이해한다면 가족생활이 좀 수월할 수 있으며,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가족문화는 각 가정마다 차이가 있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이에 한국가족문화는 유교문화권 국가들과 유사한 측면이 많지만, 급속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의 가족문화도 점차 변하고 있다. 가족원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 못지않게 가족 간의 화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가족 내 위, 아래의 순위와 질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가정에서는 부모, 조부모, 친척 중 웃어른을 공경할 것을 가르친다. 부모-자녀 관계가 특별하다. 한국부모는 자녀에 대한 사랑이 지극한 편이다. 때로는 이러한 사랑이 지나쳐서 자녀를 의존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부모에 대한 ‘효도’를 강조한다. 효도란 자녀가 부모를 기쁘게 해드리고 노후에 편히 지내시도록 잘 모시는 것을 말한다. 부부간의 관계도 좋아야 하지만, 가족 내에서 자녀로서의 역할, 부모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을 중히 여긴다. 집안일이나 아이를 키우는 일은 여자의 일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남자들도 집안일이나 아이를 키우는 일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한국 남성들은 아내에게 애정표현을 잘 못하는 편이다. 특히 부모님이나 가족들 앞에서 아내에 대한 칭찬이나 애정표현은 못난 사람이 하는 행동으로 생각해 왔기 때문에 조심하는 편이다.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의 경우 우선적으로 문화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 중요하다. 한국의 가족 생활 문화가 고국과 다른 부분이 있어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권한다. 서로의 가족문화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기, 배우자나 배우자의 부모에게 가족 전통을 물어보기, 그 집안 문화를 존중하고 우선 따라 해보기, 가족생활에서 힘든 부분은 대화하여 해결하기, 혼자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주변의 도움을 요청하기등이다. 사할린 한인들의 가족 구성은 기본적으로 직계가족이다. 사할린에 거주하는 한인들에게 가족은 각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초기의 한인들은 가능하면 한국 사람들 사이에서만 결혼하고자 하였으나 점차 러시아 사람들과 결혼하는 경우가 늘어났으며 지금은 국제결혼이 일반화되어 있다. 사할린 한인들의 친족관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이들의 친족관계가 양면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목차

<Резюме>
 <Ключевые слова>
 I. Введение
 II. Конфуцианство . основополагающая идея семей ных отношений корейцев
 III. Особенности семейных отношений сахалинских корей цев
 IV. Влияние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на брачно-семейные отношения сахалинских корей цев
 V. Заключение
 <Литературa>
 <국문요약>

저자정보

  • Пак Сын Ы 박승의. 러시아 사할린 사범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