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TMS

지체시간과 연동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신호교차로 시뮬레이션 모형의 개발

원문정보

The Macroscopic Model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to Consider Progression in relation to Delay

한여희, 김영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performance index of singalized intersections is a standard to optimize signal control variables and to manage traffic flow. Traffic delays is generally used to minimize the average delay time on intersections or networks, progression efficiency is used to improve travel speed of main cooridors or to provide transit signal priority. We manage traffic flows with only selecting one index between delays and progression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raffic management and field characteristics. In real field, the driver's satisfaction is high in any performance criteria when the waiting time is shorter and the unnecessary stop in front of traffic is smaller. This paper aims to develop simulation model to represent real progression with concurrently considering delays and progression. In order to reflect an effect of level of traffic volumes and residual queues which don't be considered in prior progression model, we apply shockwave model with flow-density diagram. We derive Cell Transmission Model of Daganzo in order to develop the delay index and the progression index for the macroscopic simulation model. In order to validate the effect, we analysis traffic delays and progression efficiency with comparing this model to Transyt-7F and PASSERⅤ.

한국어

신호교차로의 효과척도는 신호교차로의 신호시간을 최적화 하고 단속류의 교통류를 관리하는데 기준이 되는 척도이다. 일반적으로 교차로나 네트워크를 주행하는 차량의 평균 지체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지체시간을 효과척도로 사용하고, 일부 교통축을 개선하거나 버스의 우선 통행을 위하여 연동효율을 효과척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교통류를 관리하고자 하는 현장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두 개의 효과척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 척도의 목적에 맞게 신호시간을 관리하고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운전자가 도로를 주행할 때는 척도와 상관없이 대기시간이 짧을 수록, 교차로에서의 불필요한 정지가 적을수록 운전자의 만족도는 커진다. 본 연구는 지체시간과 연동성 구분없이 두 개를 동시에 고려하여 반영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동폭 최대화 모형에서 반영하지 못한 교통량 수준과 정지선에 미리 대기하고 있던 잔여차량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밀도-교통량 곡선을 이용한 충격파 모형을 적용하였다. Daganzo의 Cell Transmission Model을 차용하여 지체시간과 연동지표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지체시간 모형인 Transyt-7F와 연동폭 최대화 모형은 PASSERⅤ를 기준으로 지체시간과 연동효율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모형 개발
 Ⅲ. 본 모형의 특장점
 Ⅳ. 시뮬레이션 비교분석
 Ⅴ. 결론 및 향후연구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여희 Yohee Han.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박사과정
  • 김영찬 Youngchan Kim.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