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필사본 고전소설의 국어사 자료적 활용 방향 탐색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Utilization of Copied Version of Classical Novel as Material for Korean Linguistic History

양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problems of text selection in terms of utilizing the copy version of classical novels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which the identification of the era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t is regarded to be necessary to set the priorities in order to utilize the copy version of novels that have various kinds and ver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either the original version that can identify the era or the 'direct succession version' as the top priority. It is to primarily use either the original version that was directly handwritten by the author, or the direct succession version transcribed by an outsider. For example, six of the works arranged by Shin JaeHyo(申在 孝), NanHakMong(鸞鶴夢), HwaWangBonGi(花王本記), and SsangSunGi(雙仙記) could be mentioned. Next,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palace version and the rental version(貰冊本). The key words of palace version and rental version are ‘professionalism’ and ‘obstructiveness’. The level of the quality of the books, producer(copier), distribution space, and reader, are all professional and obstructive. In other words, they are made and distributed in thorough ‘management structure’. Accordingly, they are considered to be rather appropriate subjects to be used for research materials of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Among the copy version of novels, the ones with the high utilization value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are so-called ‘books with genealogy’. The novels that have been exclusively introduced in history, after being made by the writer and copier who are equipped with a certain level of professional knowledge, writing skill, linguistic sense, the notation skill for standard language, and brushing skill, are to have genealogy. Since the number of copy version of novels is very many, it is cumbersome to even select the appropriate tex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by setting the priorities, and to expand the target range consecutively.

한국어

이 논문은 국어사 연구에서 필사본 고전소설을 활용함에 있어 텍스트 선정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 글이다. 연대 특정이 중요한 국어사 연구에서 종류가 많고 이본관계가 복잡한 필사본 소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좋다. 우선, 민간 필사본 중에서는 연대 특정이 가능한 원고본 내지 원본 직계승본을 1순위로 선택할 필요가 있다. 작자의 친필 원고본 또는 동시대 작자 주변인이 필사한 원본 직계승본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 예로는 신재효 정리본 판소리 문학 여섯 작품, <난학몽>, <화왕본기>, <쌍선기> 등을 들 수 있다. 다음, 궁중본과 貰冊本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궁중본과 세책본의 키워드는 ‘전문성’과 ‘폐쇄성’이다. 책 자체의 질적 수준, 제작자(필사자), 유통공간, 향유자 등이 전문적이고 폐쇄적이다. 그것들은 이를테면 철저한 ‘管理구조’ 속에서 만들어지고 유통된다. 때문에 국어사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 데 보다 적합한 대상이 될 수 있다. 필사본 소설 가운데 국어사 연구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은 속칭 ‘족보가 있는 책’이다. 족보가 있는 책이란 관리 구조 속에서의 전문적 생산과 폐쇄적 유통의 성격을 지닌 것들을 말한다. 일정 수준의 전문지식, 필력, 언어 감각, 표준어 표기 능력, 붓놀림 솜씨 등을 구비한 작자 및 필사자에 의해 만들어진 연후에, 폐쇄적으로 전래된 소설책은 족보를 갖게 마련이다. 필사본 소설은 그 수가 매우 많아 적절한 텍스트를 선택하는 일 자체가 큰 골칫거리이다. 때문에 우선순위를 정해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그런 연후에 그 대상 폭을 차츰 넓혀 나아갈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민간 필사본과 원고본계 텍스트
 3. 궁중본과 세책본
 4. 남은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승민 Yang, Seung-min. 선문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