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Korean Leanguage Culture Training - Focused on The Awareness of Participant and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
초록
영어
This work is investigated on korean leanguage course in the relational purpose of communication. I have seen the aspect reflected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leaners in class and discussed it focused on the awareness of participant and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 Finally I can get some information as below. First, a teacher recognizes learners as listeners and mostly have much concern on the personal relation to listeners and schema. However, they disintersted on the original situation of listeners. Further, a teaching person was not strong to recognize the leaners as leanguage speakers and this affects on the actual condition of interaction in class. Additionally,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relation of listeners -speakers in leaners-teacher and leaner-leaner.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and leaners determines the polite and the way of speaking as power and solidarity.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eacher approaches randomly for the self-disclosure and the self-conception of leaners.
한국어
본고는 한국어 수업을 의사소통의 관계적 목적에서 고찰한 것이다. 실제 수업 장면을 관찰하여 학습자가 교실 안에서 경험할 사회적 의사소통을 살폈는데, 이를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청자로서의 인식이 있었다. 청자에 대한 개인적 관련성, 청자 요구, 사전지식,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자와 사회적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있었다. 교수자 대부분은 청자와의 개인적 관련성에 관심이 컸으나 청자의 기존 입장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였다. 한편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화자 인식이 약하였다. 학습 목표로 화자의 발화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않았음은 물론, 담화 유형도 분명히 하지 않았다. 언어 교실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를 청자로서, 화자로서 명확히 인식한다면, 교실 수업뿐만이 아닌 학습자의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대인 관계 형성을 위한 자아노출이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살핀 결과, 한국어 수업에서 자아노출이 계획 하에 쓰이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개인의 사적 정보와 기호, 의견, 믿음과 판단에 이르기까지 수업 진행을 위해 임의적으로 쓰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왜곡을 부르고, 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잠재적 학습으로 강화될 수 있어 부적절하다고 본다. 한편 학습자의 자아개념에 대한 사례는 많지 않았으나, 주로 그것이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사례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해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학습자에게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장하고, 이러한 방향의 언어 사용이 적절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1. 서론
2. 언어의 관계적 목적에서 본 한국어교육
2.1. 한국어교육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의
2.2. 교실 언어문화와 학습자 언어 수행의 관계
3.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본 한국어 수업의 실제
3.1. 참여자로서의 인식 측면
3.2. 대인 관계 형성 측면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