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민족의 문화갈등 구조 : 북한이탈주민과 재한 조선족의 한국사회 부적응의 문화적 원인

원문정보

Cultural Conflicts in Korean Ethnic : North Korean Refugee and Korean Chinese in Korea

남근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cultural factors that mal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Chinese in Korea.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at Koreans are one homogeneous people is a myth in our society. However, North Korea and Korean-Chinese community are specialized a quasi-ethnic society. North Korea and Korean-Chinese community has created a different culture and identity because of the geographical disconnection of residential areas and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interaction, and chang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history. These quasi-ethnic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Chinese in Korea. The intent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ultural causes why they should social maladjustment in Korea.

한국어

이 글은 북한이탈주민과 재한 조선족이 한국사회에서 부적응하는 문화적 요인을 분석한다. 우리사회에서 한민족이라는 단일민족의식은 일종의 신화에 가깝다. 그만큼 한민족이라는 개념은 원초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북한과 중국 조선족사회는 근현대사가 초래한 지리적 거주공간의 단절과 이로 인한 정치, 경제, 사회적 상호관계, 그리고 집단적 역사의식의 변화로 문화적 이질성과 더불어 서로 다른 정체성을 지닌 준-종족사회로 분화하고 있다. 준-종족화로 인하여 북한이탈주민과 재한 조선족은 한국에 입국하기 이전 그들이 거주했던 지리적 거주공간에서 경험한 삶의 행위와 방식이 한국사회에서의 삶의 행위와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이 글은 북한이탈주민과 재한 조선족이 한국사회에서 부적응하는 원인을 그들이 한국에 입국하기 이전에 북한과 중국사회에서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그들 삶의 작동방식과 주체가 형성되는 문화적 과정을 통해 살펴본다.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와연구목적
 Ⅱ. 논의의이론적배경과분석틀
 Ⅲ. 북한과중국조선족의준-종족적타자화
 Ⅳ. 다층적‘위치지움’이초래한부적응과갈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근우 Nam, Keun-Woo.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