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최근 국제질서 변동에 따른 한반도 주변정세 변화의 특징

원문정보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al situ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y the recent changing international orders

김수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al situ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y the recent changing international orders. A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orders, and analyzes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al situ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en seeks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Korean peninsula now stands at the crossroads between the stability and instability as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regional situations have been changing. As the uncertainty in the international orders increases, the regional situations in 2013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ill become complicated. Therefor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diplomacy with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in order to achieve the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hould open a new chapter in cooperation and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order to take initiative in the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conclusion, upgrading the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be given the first priority i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ies, and also both North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should play important roles in overcoming the whirlwind of chaos for foreseeable future in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제질서의 변동에 따른 한반도 주변정세의 변화 특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전개내용은 최근 국제질서의 변동에 관한 특징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한반도 주변정세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난 후 결론적으로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방향을 모색하는 순서로 구성돼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최근 국제질서의 변동과 한반도 주변정세의 변화가 현재 우리에게 한반도의 안정이냐, 아니면 불안정이냐에 빠지느냐라는 선택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도출하였다. 국제질서 변동의 불확실성과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2013년 한반도 주변정세의 흐름도 복잡성과 변동성이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방향은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차원에서 주도적인 미·중·일·러와의 외교력을 발휘하는 정책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고, 남북관계의 주도권 장악차원에서 적극적․다방면적․다차원적 남북교류협력의 장을 활용하는 정책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 정부의 대응책에서 최우선 기본방향을 남북관계의 개선으로부터 두고, 남과 북이 한반도에서 혼돈과 격랑의 회오리를 함께 뿌리치고 나가야 할 주체라고 마무리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문제제기
 Ⅱ. 최근국제질서변동의특징
 Ⅲ. 한반도주변정세변화의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수민 Kim, Soomin. 선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