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hat is technofuturism? How is technofuturism represented in the cinema as a mirror reflecting the real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To get the answers I have divided the concept of technofuturism into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futurism.’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will be examined with focusing on Marshall McLuhan who has been in the center of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ocial development, futurism will be conceptualized with concentrating on “Manifesto of Futurism” by the Italian poet Filippo T. Marinetti who had announced the construction of new kind of future through infinite trust in technology. This study has selected Hugo(2011), directed by Martin Scorsese, as a text to discuss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echnofuturism. Even though Hugo is not a SF genre film, it can be viewed as a proper text to be analyzed by applying technofuturism because its narrative is directly related to the discour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rant the status of theoretical concept to technofuturism as a critical rhetoric, to expand the theoretical vocabulary of film genre and/or new media theories, and to enhance the critical value by adding socio-cultural implication of technofuturism to the film Hugo which is being relatively devalued from critics giving a word like ‘an hommage to the early film directors such as Georges Melies’ to the film without deliberation.
한국어
기술미래주의란 무엇인가? 이는 실제 세상을 비추는 거울로서의 영화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해답의 도출을 위해 연구자는 기술미래주의라는 개념의 어원을 ‘기술결정론’과 ‘미래주의’로 양분하였다. 기술과 사회 발전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중심에 있어 왔던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을 중심으로 기술결정론의 개념을 살펴볼 것이며, 기술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통해 새로운 미래의 건설을 선언했던 이탈리아의 시인 마리네티(Filippo T. Marinetti)의 ‘미래주의 선언(Manifesto du Futurisme)’을 바탕으로 미래주의를 개념화할 것이다. 기술미래주의의 영화적 재현을 토론할 텍스트로서 연구자는 마틴 스콜세지(Martin Scorsese) 감독의 영화 <휴고(Hugo)>(2011)를 선정하였다. <휴고>는 SF 영화가 아님에도, 혹은 장르 구분에 상관없이 내러티브가 기술미래주의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지님으로써 기술미래주의를 적용/분석할 텍스트로 적절하다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술미래주의라는 비평적 수사에 이론적 개념의 지위를 부여하는 동시에 영화 장르나 뉴미디어 이론과 관련한 이론적 어휘를 확장시킴으로써, 평론가들로부터 ‘조르주 멜리에스와 같은 초기 영화제작자들에 대한 오마주’라는 비교적 절하된 평가를 받고 있는 영화 <휴고>에 기술미래주의와 관련한 사회문화적 함의를 부가함으로써 영화의 이론적 가치를 제고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목차
2. 기술미래주의의 정의 및 개념
3.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