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경영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회피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원문정보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avoidanc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display advertising?

정진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o the factors affecting smart phone applications to avoid display a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propensity for advertising intrusion was the result of a single factor.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 advertising intrusion ad avoidance tendency. Second, the smartphone motivation for the use of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even factors were, Entertai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learning/work use, multimedia use, ease of life, time leverage, respectively. Showed low levels of advertising avoidance learning/working synchronous usability and ease high motivation life. Finally a smart phone for involvemen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tising intrusion tendency appeared. High involvement group was obtain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multimedia use, ease of living, time management motivation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 involvemen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martphone application smartphone users to reduce evasion of advertising practitioners to give answers to create display ads advertising

한국어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단일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획득, 오락성, 학습/업무활용, 멀티미디어 활용, 생활편의성, 시간 활용으로 나타났다. 학습/업무활용성 동기와 생활편의성 동기가 높으면 광고회피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광고에 대한 지각된 침입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여 집단이 저관여 집단보다 정보획득, 오락성, 사회적 관계형성, 멀티미디어 활용, 생활편의성, 시간활용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실무자에게 스마트 폰 사용자가 광고회피 행위를 줄일 수 있는 해답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목적 및 배경
 2. 연구문제
 3. 연구방법
  3.1 피험자
  3.2 측정도구
  3.3 자료분석
 4. 결과
  4.1 광고회피의 요인구조
  4.2 관여도의 요인구조
  4.3 스마트폰 이용동기의 요인구조
  4.4 관여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동기 차이검증
  4.5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4.6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 요인구조
  4.7 관여도에 따른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 차이검증
  4.8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진택 Jin-Teck, Joung. 국립한국복지대학교 광고홍보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