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urve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Attractive Items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Korea - focused on the Seoundong and Seokgyodong in Cheongju -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clarified the perception of residing within urban traditional houses, Hanok in the Seoundong and Seokgyodong in Cheongju, by questionnaire survey prepared with 5 categories, 15 mid-categories and 45 sub-categories from advanced studies about advantages of Hanok. As a result, attractive items were correlation with a residents' attributes such as respondents' gender, age, and length of residence. As a result, first, the males highly evaluate the warmth of image attractive, and the females highly evaluate the harmony of form attractive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 higher the age group highly evaluate the all-round attractive, and sixties residents highest evaluate the space, form, image attractive. Third, the protracted residents highly evaluate the open of space, timber of materials attractive according to length of reside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한옥이 지니고 있는 장점이라 할 수 있는 매력 요소들을 살펴보고, 거주자의 성별·연령별·거주기간별 특성에 따라 이들 매력 요소들이 거주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평가·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내륙지방의 역사적 도시인 청주 구도심 지역의 서운동과 석교동 일대로 현존하는 80동의 도시한옥 중에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0동이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거주자의 성별, 연령별, 거주기간별과 상관없이 도시한옥의 건강적 측면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특히 건강적 측면의 쾌적성에서 채광 및 통풍에 대한 매력 요소가 매우 높게 평가되었다. 대부분의 거주자들이 건강적 측면을 뒤이어 도시한옥의 공간적 측면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50대와 70대 이상의 거주자들은 공간적 측면에 비하여 재료적 측면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성별에서 여성이, 연령별에서는 60대와 70대 이상이, 거주기간별에서는 30년 이상 거주자가 형태적 측면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중에서 30년 이상 거주한 60대 거주자는 도시한옥의 이미지적 측면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목차
1. 서론
2. 조사대상 주호의 일반적 특성
2.1 거주자 특성
2.2 건축물 특성
3. 거주자가 인식하는 항목별 매력 요소
3.1 대항목에 대한 인식
3.2 중항목에 대한 인식
3.3 소항목에 대한 인식
3.4 항목별 평가 종합 분석
4. 거주자 특성별 매력 요소
4.1 성별
4.2 연령별
4.3 거주기간별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