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조선족 농촌마을의 공간구성 및 세대별 배치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 연변 조선족 자치주 룡정시 룡산촌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layout of the rural neigborhood and site plan of Korean Communities in China - Focused on the Long-shan village of Long-Jing city, Yanbian Chaoxianzu Zizhizhou -

김준봉, 김현송, 백석종, 김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the research on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eonbyeon Long-Shan village of China. The house(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urveyed in this paper is a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rural people in this region.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Korean-Chinese people. Long-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north side of village is Moa mountain that is branch of Baekdu Mountain (白头山) and south side of it is surrounded by Haeran river (海兰江). There are two roads which is the main axes of village layout. One is an east-west main road which goes along southern creek.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with this road. Another axis is a north-south main road from which sub roads are branched ou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the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attached garden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 is located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is related with a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Because a kitchen is usually on eastern side in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한국어

본 논문은 중국속에 사는 한인동포 민가 한 마을에 대한 전수조사연구이다. 민가는 그 사회의 주거문화를 대표하는 주거유형이다. 민가는 서민의 살림집을 의미하며 한 사회의 보편적이고 다수의 집단을 이루는 대중의 주거이다. 중국 조선족 주거에서 전통적 주거문화를 계승하며 융합, 발전시킨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다. 용산촌은 북쪽에 백두산(白頭山)의 한줄기인 모아산(帽兒山) 기슭에 위치한다. 남쪽으로는 멀리에 해란강(海蘭江)이 흐르며, 마을과 해란강 사이에는 넓은 농토가 펼쳐져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형의 전통 조선족 마을이다. 마을은 동서로 길게 배치된 형상으로 주도로가 전면에 동서로 길게 나있다. 하천을 따라 흐르는 곡선 도로와 남북을 가로 지르는 직선에 가까운 도로가 이 마을의 도로체계의 골격을 이룬다. 이 두 개의 도로를 主도로라고 부르고 주도로보다 다음 단계의 도로는 副도로, 그 다음의 도로는 간선도로(골목길)이라 칭한다. 그리고 차량도로와 같이 4개의 도로가 마을의 도로체계를 이룬다. 주거단위 내의 살림채의 배치는 북쪽 방향으로 본채를 두고 남쪽에 경작지를 둔 형식이 가장 많았다. 부속사는 거의 절대적으로 동쪽 배치가 선호된다. 주거단위의 배치계획을 살펴보았을 때, 대문의 위치는 동쪽이 가장 선호된다. 부속사의 위치는 출입문의 위치가 동쪽이 많다는 것은 살림채 내에서 부엌이 동쪽에 위치한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해석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대상지역의 개관
  2.1 자연환경조건
  2.2 인문사회적조건
  2.3 인구특성
 3. 마을의 입지와 배치현황
  3.1 마을의 입지
  3.2 마을의 배치현황
  3.3 각 주거단위의 본체 진입방향 분석
  3.4 공공시설
 4. 마을 주택의 특성과 주거단위 배치특성
  4.1 마을 주택의 특성
  4.2 각 주거단위의 본채 배치분석
  4.3 각 주거단위의 부속건축물 배치분석
  4.4 각 주거단위 대지, 건축면적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준봉 Kim, June-Bong. 북경공업대학교 건축도시규획학원 교수
  • 김현송 Kim, Hyun-Song. 북경공업대학교 건축도시규획학원 석사과정
  • 백석종 Baek, Suk-Jong.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김준영 Kim, Jun-Young.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