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걷고 싶은 거리’조성을 위한 가로디자인 전략 연구 - 어번픽춰레스크 특성을 활용하여 -

원문정보

At Study on the Street Design Strategy to Build ‘Pedestrian-Friendly Street’

박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icturesque aesthetics from romanticism in 18th century that features irregularity and diversity was applied to urban street design in 19th century and developed to a concept of ‘urban picturesque’. Contrastively from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impact of physical aspects of urban picturesque on the degree of interest from pedestrian experience, this study looked into the features of urban picturesque based on additional reinforcement to theoretical validity and characterization of each sections of stree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an influence from the grand tour of British in 18th century and romantic landscape style artists in 17th century, it has common features with those imitations or realization of ideal landscapes in UK. Second, the new view point for the pedestrian structure applied to urban area can be found from the historical context such as Jonh Nash who applied aesthetic concept of icturesque for urban space design and Camillo Sitte and Gorden Collen who theoretically systemized it, and this is the background for introduction of urban picturesque. Third, the subject street lacks in uniformity of elevation and continuity of space, and there should be an integrate plan for improvement. Fourth, in the old urban area of Gongjoo, the natural landscapes and views are diminishing in the course of urban development, and thus there should be a plan to increase the value of Gongjoo city as a historic city through improving its historical feature.

한국어

불규칙성과 다양성을 특징으로 한 18세기 낭만주의 조경의 픽춰레스크 미학은 19세기 도시 가로조성에 적용되어 ‘어번픽춰레스크)’라는 개념으로 발전하게 된다. 선행연구가 가로의 어번픽춰레스크 특징 중 물리적 형태에만 국한하여 보행체험의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려 했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축면에서의 추가적 정립과 함께 가로의 구간별 특성화를 바탕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세기 영국인의 그랜드투어와 17세기 풍경식 화가들의 영향으로 나타난 영국의 풍경식 정원인 이상적 풍경의 모방이나 재현을 목표로 철저하게 구성되는 공통적 특성을 보인다. 둘째, 도심에 적용된 보행구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픽춰레스크의 미적개념을 도시공간설계에 적용한 존 내시와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카밀로 지테, 고든 콜렌 등의 역사적 맥락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어번픽춰레스크가 등장하는 배경이 된다. 셋째, 대상가로는 사업 후에도 입면의 통일성과 공간의 연속성이 부족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통합적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공주 구도심은 도시의 발전과정에서 생성된 자연스러운 경관과 풍경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특성의 제고를 통해 전반적인 역사도시로서의 공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고찰
  2.2 픽춰레스크의 의미와 개념
  2.3 픽춰레스크 회화와 조경의 관계
  2.4 어번픽춰레스크 배경과 특성
 3. 대상지 가로 분석
  3.1 분석의 틀
  3.2 공주시 국고개 가로의 어번픽춰레스크 특징
  3.3 대상지 개요 및 일반 현황
 4. 대상지 가로의 특성 분석
  4.1 대상지 가로체계
  4.2 대상가로의 공간분석
 5. 결론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훈 Park, Hoon.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도시설계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