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Iron‐manufacture Method through Analysis of Ironware excavated from Byeokje, Goyang
초록
영어
The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is a measure to fathom the society's level of development in time. To understand iron-manufacure methods in the past, various investigations on the fine structures and additions of ironware remains and Iron ingot have been conducted in a way of natural science. This study metallurgically reclassifies remains excavated in iron-manufacture remains located in Beokje, Goyang, which are thought to be in time of Goryeo Dynasty, and draws an inference from the element analysis on the iron-manufacture and smelting technology. Iron ingot samples with a cast iron structure are divided into those with a white cast iron structure and those with a grey cast iron rich in P. The P content of grey cast iron appeared to be the result of adding a flux agent like lime, iron ingot and carbon steel iron ingot with a cast iron structure excavated in the area is regarded as pig iron which was made without a refining process. In this study it seems that two methods of making ironware were used in the area; one is the method of making ironware by pouring cast iron to the casting, and the other is the method of making carbon steel through the refinement of pig iron. It appears that highly even steel structure of carbon steel and a small amount of MnS inclusion are very similar with that of the modern steel to which Mn is artificially added. Nevertheless, these data alone cannot be used to determine the source of Mn in the carbon steel of the excavated from the iron-manufacture remains, which raises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on the source and the possibility of carbon steel via the iron-manufacture process of cast iron.
한국어
철기 생산 기술은 당시 사회 발전을 가늠하는 척도로서 과거의 제철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철기 유물의 미세조직과개재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고양 벽제 제철 유구에서 일괄로 수습된 철제 유물의 시편을 채취하여 광학현미경과 미세경도시험기, SEM-EDS를 이용하여 미세 조직의 성분분석을 통해 제철과 제련 기술을 추론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철괴는 주철괴와 탄소강 철괴로 분류되었다. 주철괴의 경우 백주철 조직과 인(P)의 함량이 높은 회주철 조직으로 분류되었으며 회주철 내 높은 P의 함량은 석회질 등의 융제가 첨가되며 혼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철 조직의 철괴 및 고탄소강 철괴는 제련공정을 거치지 않은 선철들로 추정된다. 또한 철기 제작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첫번째는 주물에 주철을 부어 제작하는 주철괴 제작방법이며, 두번째는 선철의 제련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탄소강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특히 탄소강의 고른 강 조직과 적은 양의 MnS 개재물은 현대 제철 조직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지니나 고양 벽제 제철유구에서 수습된 탄소강 내 Mn의 함유에 대하여 판단하기에는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주철의 제강공정을 통한 고탄소강의 생산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시편제작
2.2.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철괴
3.2. 철기
3.3. 고찰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