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안동 봉황사 삼세불 제작에 사용된 섬유의 동정

원문정보

Identification of Fibers of Samsebul (Triple Buddha Statues) at Bonghwangsa in Andong

조경실, 백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amsebul, the altar portrait behind the statue of Buddha in the main building of Bonghwang temple in Andong, has been designat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406. These alter portraits have significance as the standard of the research of Samsebul in Joseon period. In this study, fibre of the ground textile is identified using microscopic examination, solubility test, ATR-FT-IR, SEM, XRD. Two samples from Yaksabul(A, B), one sample from Seokgabul(C), and one sample from Amitabul(D), which were collected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were prepared for this study. In previous record, above samples were documented as hemp. Due to severe deterioration and accumulated dust layers on these samples, it was hard to recognize them with naked eyes, but through this study, we could identify that all samples except one from Yaksabul(A) are silk.

한국어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2점(A, B), 석가불 시료 1점(C), 아미타불 시료 1점(D)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료들에 대해 기존의 문화재 명칭에는 삼베로 기록되어 있었다. 열화가 심하고 두꺼운 먼지층을 형성하고 있어 육안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으나 본 실험을 통하여 약사불 시료1점(A)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시료
  2.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현미경법에 의한 섬유동정
  3.2. 용해법에 의한 섬유동정
  3.3. ATR-FTIR에 의한 섬유동정
  3.4. X-선 회절분석에 의한 섬유 결정구조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경실 Kyoung-Sil Cho. 은실문물연구원
  • 백영미 Young-Mee Baek.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