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촌지역 조손가정의 특성 및 그 특성들의 관계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for the Grandparent-Headed Families

조유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for grandparent-headed families. The interview was administered to 57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who were recipients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gram o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Some socio-demographic informations on the grandparentsheaded families, levels of stress or burden owing to caring for the grandchildren, quality of services given to the grandparents-headed families, and health-related indices such as IDL, IADL, MMS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nd fall index were measured from the grandparents. Most grandparents were female and septuagenarians, and had a low-level educational background. They had cared for their grandchildren for almost 10 years, and the longer they cared for them, the worse their health conditions were. Some of them should earn extra money thru farm-working in order to overcome financial hardships. Almost two-thirds of them had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s. The number of welfare services they wanted to receive from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was over 16 but the number of services that had been receiving was 2.3 on average. It was discussed that we need to show more societal concern for the grandparent-headed families.

한국어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조손가정의 특성들을 찾아냄 과 동시에 그 특성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면접 조사였다. 조사 대상자는 조손가정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농촌지 역의 57조손가구의 조부모 1인씩 및 손자녀 1인씩이었다. 조손가정 의 조부모를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정보들을 비롯하여 손자녀의 양육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조손가정에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만족 도, 그리고 일상생활동작능력, 도구적 일상생활동작능력, 간이정신기 능검사, 간이영양상태 조사, 및 낙상 가능지수 등을 측정하였다. 조 부모는 대부분 여성이며, 70대의 고령이었으며, 교육수준이 매우 낮 았다. 그들은 거의 10년 정도 손자녀를 돌보고 살아왔는데, 그 기간 이 길수록 건강상태가 더 좋지 않았다. 상당수가 경제적인 빈곤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사일 등 경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다. 건 강상태도 매우 좋지 않아서 만성적인 질환을 지닌 비율이 3/2이상이 었다. 그들이 제공받고 싶은 프로그램의 수는 16.5개이었지만, 제공 받고 있는 서비스프로그램은 2.3개에 불과했다. 열악한 조건에서 살 아가는 농촌지역 조손가정을 위한 사회적인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 요함을 논했다.

목차

요약
 서론
 연구방법
  조사대상자 및 조사절차
  조사도구 및 분석
 결과 및 논의
  손자녀 양육 환경
  조부모의 건강
  특성들의 관계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유향 Yoo-Hyang Cho.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