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tential and Direction of Social Enterprise in Tourism : Focusing on Jeollabuk-do Provinc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ways to apply social enterprise in tourism, which is recently attracted the attention as a model of the alternative economy. Away from the limited perspective on social enterprise in tourism as responsible tourism company, the logic develops in the viewpoint that social enterprise in tourism must be dealt with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the expansion of tourism industry, tourism education, and tourism research are necessary. And some examples about social enterprise in Jeollabuk-do Province are proposed. Th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criteria suggested by EMES, which is well known as a leading research institute in the field of social enterprise, after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six criteria of EMES, i.e. technical, product/services development, internal organisation/operational practices, external networks/clusters, institutional-legal innovation, and business model, social enterprise in Jeollabuk-do Province are well appreciated. In addition,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is already provided by improvements to the institutional-legal innovation. However, further improvements are expected in the developments of product/service, business model, and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ed thesis discussed from 2007 is yet unresolved and that the capacity building in civil society including the expansion of relevant education is necessary.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대안경제(alternative economy)의 모델로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기업을 관광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대안관광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관광분야 사회적기업을 공정여행업체로 한정하는 현재의 시각을 벗어나 문화복지 영역으로까지 확장하여 관광산업과 관광학 교육·연구 분야의 지평을 넓히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논리를 전개하였고, 전라북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 현장조사(field survey), 심층인터뷰 (in-depth interview)를 병행하였고, 이를 사회적기업 분야 선도적 연구기관인 EMES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EMES의 기준인 기술적 측면,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 내부조직역량 및 이해관계자 간 갈등조정능력, 네트워크 및 클러스터 형성, 법과 제도상의 혁신, 사업모델 등 여섯 가지 기준에서 전라북도의 사회적기업 환경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법과 제도상의 개선으로 사회적기업 발전의 토대는 마련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 사업모델 개발 등의 항목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많았는데, 이는 관련 논의가 시작된 2007년의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서 제도권 교육의 확충을 포함하여 시민사회의 주체역량이 강화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공공재로서의 여가와 관광
2. 국내 관광분야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특성
3. 관광학계의 사회적기업 연구동향
Ⅲ. 연구방법
Ⅳ. 전라북도 관광분야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과제
1. 전라북도 관광분야 사회적기업의 현황
2. EMES(European Research Network)의 기준을 적용한 현황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