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파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원문정보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ile System for NAND Flash Memory

박정태, 박상오, 김성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lash memory have been used diverse applications as suitable storage medium for embedded devices. Especially, as capacity of storage mediums which are needed by embedded devices increases recently, utilization of the NAND flash memory is increased because this memory is cheaper and more density than the existing NOR flash memory which is mainly used. Previous researches into flash memory file systems mainly focuses on NOR flash memory. However, researches into file systems for NAND flash memory only are insufficient. Thus, this papers designs and implements access layers in order that file systems can use efficiently NAND flas memory. The developed file system shows maximum 50% improved performance rather than previous researched file systems for flash memory only.

한국어

플래시 메모리는 내장형 기기에 적합한 저장매체로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최근 내장형 기 기가 필요로 하는 저장매체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 왔던 NOR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집적 도가 높고 비용이 저렴한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전까지의 플래시 메모리 파 일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주로 NOR 플래시 메모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NAND 플래시 메모리에 적합한 플래시 전용 파일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파일시스템에서 NAND 플래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계층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이 접근계층을 바탕으로 NAND 플래시 메모 리 전용 파일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파일시스템은 기존에 연구되어진 플래시 메모리 전용 파일 시스템에 비해 최대 50% 정도 향상된 성능을 보이고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플래시 메모리
 III. DNA Layer와 NFFiS
  3-1 DNA(Direct NAND Access) Layer
  3-2 NFFiS(NAND Flash File System)
 IV. 성능평가
  4-1 순차적인 쓰기 성능 (Sequential Write Performance)
  4-2 랜덤한 쓰기 성능 (Random Write Performance)
  4-3 Hot-and-cold 쓰기 성능
 V. 결론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정태 Jeong Tae Park.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박상오 Sang Oh Park.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성조 Sung Jo Kim.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