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論文

람림(Lam rim)에 나타난 계율관 고찰 - 신통, 보리심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Buddhist Precepts of Lam rim -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Miraculous Power and Bodhicitta

양정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explained in Byang-chub Lam-gyi Rim-pa written by Atīśa and Lam-rim written by Tsong kha pa that the miraculous pow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actice for others' benefit. Buddha had a very cautious attitude about using the miraculous power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but the power is encouraged in Mahāyāna scriptures. The Buddhist Precepts are the beginning of religious practising so the Bodhisattva precepts need to be explained from the relationships with the miraculous power and Bodhicitta. Tsong kha pa's views on the Precepts can be examined from two points. First, the Bodhisattva Precepts are great because the Bodhicitta of aspiration is excellent in point of the intention. Second, it can be judged by the miraculous power whether the Bodhisattva's acts are really for all sentient beings or not and the judgement is based on the Three Higher Trainings. Tsong kha pa admitted the capability of the miraculous power. But he said that the five supernatural powers have their limits and did not advised his disciples to practise for them. He asserted that Bodhisattva practitioners should not commit the precepts on the plea of doing for others and should keep them. He was in agreement with the Buddha's attitude about the miraculous power. Tsong kha pa emphasized that Buddhist practitioners should follow the Buddha's teachings in Lam rim. He would suggest Three Higher Trainings and Three Levels of Spiritual Application as correct Buddhist practices. It was also connected with the social situation because there were widespread wrong practices in Tibet at that time.

한국어

아띠샤(Atīśa, 982-1054)의『菩提道燈』(Byang chub lam gyi rim pa)과 그의 수행체계를 수용한 쫑카빠(Tsong-kha-pa, 1357-1419)의『菩提道次 第』(Lam rim)에서는 선정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신통이 이타와 직접적 인 관계 속에서 설명된다. 초기경전에서 붓다는 신통에 대해 경계의 태 도를 취하지만 대승경론에서는 중생구제의 측면에서 오히려 신통이 권장 된다. 계가 수행의 근본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대승계를 신통과 보리 심과의 관련성에서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쫑카빠의 계율관은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대승보살 계가 수승한 이유는 意樂의 관점에서 願心의 수승함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보살행이 진정한 이타행인가 아닌가의 여부는 신통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러한 판단은 삼학의 체계에 근거하여 제시한 것이다. 쫑카빠는 신통의 공능을 인정하면서도 오신통으로는 윤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성을 지적하고 제자들에게도 신통을 위한 수행은 권장하 지 않았다. 그는 대승보살이 이타를 행한다는 명목으로 계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계율에 의지하여 수행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초기에 붓다가 계율에 의지하여 수행할 것을 강조하고 신통을 사 용하는 데 경계하였던 태도와 일치한다. 람림에서 쫑카빠는 붓다의 가르침에 충실히 따를 것을 강조한다. 당시 티벳에 잘못된 불교수행이 퍼져있었던 사회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그는 철저한 계율수행과 삼학, 삼사도의 체계를 통하여 올바른 수행체계를 제 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한글요약
 Ⅰ. 논의제기
 Ⅱ. 경전 상의 지계
 Ⅲ. 수행과 신통의 관계
 Ⅳ. 쫑카빠의 계율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정연 Yang, Jeong-yeon.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