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論文

북한지역 사찰의 불교사적 의의

원문정보

Buddhist temples in Nor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to Buddhism

황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Buddhist temples in North Korea ranging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During the Goguryeo Dynasty, the kingdom's capital was transferred to Pyeongyang and most temples from the Goguryeo Dynasty were built after this event. Temples such as, Yongmyongsa and Chongrungsa date back to this time and both have relations to Ju-mong, the founder of Goguryeo. Among the "Nine Mountain Monasteries," Kwangjosa of the late Shilla Dynasty, located in Mount Sumi of Haeju, is the northernmost sited. Temples, such as, Kaesima was founded under Palhae Kingdom. Wang Geon, the founder and the great emperor of the Goryeo Dynasty, established BeobWang-Sa, WangRyun-Sa, etc. which have become the top 10 Buddhist Temples. Bongeunsa and Bulilsa are memorial temples that were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ies. Head temples of denominations mainly operated in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For geographical reasons, Chunghungsa, Pohyonsa, and Singwangsa in Haeju were strengthened for national defense. Among the 36 Zen and Non-zen Buddhist temples of the Chosun Dynasty, Yeon-Bok Sa (zen) and Gwangmyeongsa (non-zen) served as government offices. Moreover, Gwaneum cave and Gamrosa in Kaesong, Yongmyongsa in Pyongyang, and Sogwangsa in Anbyŏn, all acted as the royal and main temples of Gaegeyong, and Suryuksa of South Korea. In the late Choson period, Sogwangsa served as one of the four main temples supporting the emperor. In 1902, Yujomsa, Sogwangsa, Kwijusa, Pohyonsa, Singwangsa belonged to the 16 provincial temples. Later, 31 head temple system emerg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and among them 8 were main temples. Total of 403 temples were operated where most of them were located in Mount Kumgang and Mount Myohyang and served as temples for Dangun or the royal families.

한국어

본 논문은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북한지역의 사찰의 역사적 중 요성을 다룬 연구이다. 북한지역내 고구려 사찰은 평양천도 이후의 것이 대부분인데 고구려 건국자 동명성왕과 관련된 광법사, 영명사, 중흥사, 정릉사 등의 사찰이 중요시 되었다. 신라하대 수미산문의 해주 광조사는 최북단 9산 선문 가운데 하나였으며, 선종의 북한지역의 확대 포교였다. 북한지역내 발해지역의 개심사 등의 사찰은 남북국시대의 불교도량이라 고 하겠다. 고려시대 국도 개경의 중요사찰은 태조가 창건한 법왕사․왕륜사 등의 10대 사찰이다. 역대 왕실에서 운용했던 봉은사․불일사 등 진전사원 그 리고 불교계가 운용했던 고려시대 주요종파의 본산 사찰도 중요하다. 즉, 고려불교의 12종파의 본산 산문중심 불교가 개경을 중심으로 전개되었 다. 이와 더불어 서경인 평양 중흥사와 보현사 등과 해주의 신광사, 안변 의 보현사 등과 국방 지역인 양계지방의 사찰이 국가 비보적인 측면에서 강화 운용되었다. 조선시대 선교 양종 36사 가운데 북한지역 본산제하의 사찰은 유후사 의 선종의 연복사와 교종의 광명사 등이 운용되었으며, 개성의 관음굴과 감로사, 평양의 영명사, 안변의 석왕사를 비롯하여 남한지역과 마찬가지 로 왕실원당, 개경 국도 중요사찰, 수륙사 등이 주요 대읍에 선정 운용되 었다. 조선후기 4대 총섭제 가운데 석왕사가 운용되었으며, 1902년 中法 山제도를 운용했는데, 유점사 석왕사, 귀주사, 보현사, 신광사였다. 이는 일제 강점기 본산제의 틀이 되었으며, 일제의 31본산제 가운데 북한지역 에 8개 본산제가 실시되었다. 대개 금강산과 묘향산, 국조 단군과 왕실관 련 사찰들이었으며, 총 403곳의 사찰을 관할하였다.

목차

한글요약
 들어가는 말
 Ⅰ. 고구려와 발해 사찰
 Ⅱ. 고려 진전사원과 비보사찰
 Ⅲ. 조선 양종 본산제 사찰
 Ⅳ. 근대 31본산제 사찰
 나가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인규 Hwang In-gyu. 동국대(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