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論文

제주도 존자암 고(考)

원문정보

The Study on Jon-Ja-Am in Je-ju-do

한금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n-Ja-Am is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historical records among the temples in Jeju-do. The appearance of Jon-Ja-Am in the Goryeo dynasty can be assumed through relics excavated from the location of Jon-Ja-Am. Jo-ja-am in the Joseon dynasty appears in more than 20 records including records for private or official events, records of climbing Mountain Halla, and maps concerned with Jeju-do. The period of Jon-ja-am's activities started from the period of Tam-ra-kuk, the nation constructed on Jeju island. Until 1750's, the existence of Jon-ja-am is confirm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However, it is assumed that Jon-ja-am disappeared in the period between 1750 and 1841, because there are no records mentioning Jon-ja-am from the records of 1841. In the periods of Goryeo dynasty, Jon-ja-am was one of temples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The excavation of the roof tile donated by the minister of Jeju-mok, on which the writing was engraved, prove this historical fact. Until around the year of 1500, the minister of Jeju-mok held 'Kuk-Seong-Jae', the memorial rites for the state, on the financial basis of subsidies from the land bestowed by the government. Jon-ja-am was gradually used as the place for holding memorial rites for Mountain Halla, or as the accommodation for climbing Mountain Halla. Until the period of the year of 1530, the location of Jon-ja-am was near '500 Generals'(It means the town of a group of stones personalized as generals) , Su-hang-dong(It means 'the town of people who practice asceticism'), Yeongsil, Mountain Halla. However, according to records of Jon-ja-am in 1578, its location was moved to the vicinity of Daejeong-hyun at the bottom of '500 Generals'. Thus, it is assumed that Jon-ja-am was moved at a point of time between 1530 and 1578.

한국어

제주도 존자암은 탐라국시대부터 활동하여 고려시대에는 비보사찰로, 조선 후기까지 활동하였던 사찰이다. 제주도 사찰 가운데 역사 기록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사찰이다. 고려시대 존자암의 모습은 존자암지 발굴 유물을 통해 살필 수 있고, 조선시대는 개인 혹은 공적 행사를 위한 기 록물, 한라산 등반기록 그리고 제주도 관련 지도 등 20여 종의 기록이 있다. 존자암의 활동시기는 탐라국 시대부터였으며 1750년경까지 존재했던 기록이 있으며, 1841년 기록부터는 언급이 없어 이 기간 사이에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존자암은 고려시대 비보사찰이었다. 제주목사의 존자암 을 위해 시주한 명문기와가 발굴되어 있다. 1500년경까지도 국가에서 하 사받은 논에서 나는 경비로 제주목사가 국성재를 행하였다. 점차 존자암 은 한라산제를 위한 일정한 역할을 하거나 한라산 등반을 위한 숙소로서 활용되기도 하였다. 존자암의 위치는 1530년경까지는 한라산 영실 수행 동 오백장군 부근에 있었다. 1578년 오백장군동 밑 대정현 지경으로 옮 겨진 존자암의 기록으로 미루어 1530년 이후 1578년 이전 어느 시점에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한글요약
 I. 머리말
 II. 존자암에 관한 기록
 III. 존자암의 활동시기
 IV. 존자암의 역할
 V. 존자암의 위치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금순 Han, Geum-soon. 문학박사,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