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論文 < II > - 운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 재조명 -

김성숙의 생애와 독립운동

원문정보

The life of Kim Seong Suk and his independence activities

이동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f you look at the life of Kim Seong Suk and his independence activities, you find the joys and sorrows of his life treading a thorny path, as well brought out in his epitaph. He was consistent with the ideal and constancy in his lives as a Buddhist priest, independence activist and politician. He, after participated in 3․1 Independence Movement, endured the hardships of prison life in Seodaemun prison for 14 months and exiled in China in 1923. In the 1920's Kim Seong Suk studied at National University of Joongsan, activited in Uiyoldan and participated in Guangzhou Uprising. He was a member of National United Front of Korea and the Korean Volunteers Corps in the 1930's, both of which joined hand with the Natioanl Party in China, and with the Council of United Revolutionary Movement in Korea with 7 Associations opened at Gigang in 1938 as a momentum joined Joongkyung Provisional Government. Kim Seong Suk made an effort to combine the various power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 competing factions and lines, as a result he chose to join the Korea's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joined provisional government, although the part of power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ccused Kim Seong Suk for 'communist' because of his working as communist activist, he took the initiative to unite the power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provisional government. This strategy was the realistic measure that could be chosen by Kim Seong Suk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internal situation of China at that time. During the World War II, the Allied Powers, based on anti-fascist United Front of International, was discussing how to deal with the Korea the Peninsula after war. Kim Seong Suk made a conclusion that Korean will achieve independence and break away from the interests of world powers by making the posi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foursquare in the course of dealing with Korea Peninsula by the world powers after war. Kim Seong Suk wrote many papers as an executive editor of organizations as well as organized and worked on the various organizations.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hat restore entirely the whole life of Kim Seong Suk and make it abundantly clear the his idea, we can correctly judge his ideas and activities by in-depth studying his papers. Kim Seong Suk was progressive nationalist that clamor for integration and unity to delink from Japanese Imperialism over the wall of ideology.

한국어

김성숙의 생애와 독립운동 행적을 살펴보면 그의 묘비명처럼 가시밭길 을 헤쳐나간 애환을 느낄 수 있다. 승려로 독립운동가로 정치가로의 그 의 다양한 삶은 이상과 지조로 일관하였다. 김성숙은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 2개월의 옥고를 치른 후 1923년 중국으 로 망명하였다. 1920년대 중산대학에서의 수학, 의열단에서의 활동, 그리 고 광주봉기 참여, 1930년대 중국 국민당정부를 파트너로 한 조선민족전 선연맹․조선의용대 활동, 특히 1938년 기강에서 개최된 한국혁명운동통 일7단체회의를 계기로 중경 임시정부 체제에 합류하였다. 김성숙은 계파 와 노선을 뛰어넘어 독립운동 세력의 단결과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고 그 결과 임정 참여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임정에 합류한 이후 그의 공산주의 활동 경력으로 한인 독립운동 세력 일각으로부터 ‘공산주의자’라는 질시와 비난을 받으면서도 임정을 통한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위해 앞장섰다. 이는 김성숙이 당시의 국제정세 와 중국 국내정세 등을 파악하여 선택한 현실적 대응 방안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기 반파시스트 국제통일전선을 매개로 구축된 연합국체제에서 전후 한반도 처리 문제까지 논의되고 있었다. 국제열강의 전후 한반도 처리과정에서 임정의 지위를 확고하게 하여 한민족의 운명도 열강의 이 해관계로부터 벗어나서 독립을 쟁취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김성숙은 수많은 단체를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항상 단체의 기관지 주 필을 맡아 수많은 글을 남겼다. 김성숙의 생애를 완전히 복원하고 그의 사상을 제대로 다 밝히기는 어렵겠지만 김성숙이 남긴 글을 통한 심도있 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김성숙에 대한 재조명과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 지리라 생각합니다. 김성숙은 이데올로기의 벽을 뛰어 넘어 조국의 독립 을 위해 단결과 통합을 부르짖은 진보적 민족주의자였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출생과 국내 독립운동
 Ⅲ.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1. 1920년대 활동
  2. 1930년대 활동
  3. 1940년대 전반기 임시정부에서의 활동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언 Lee Dong-e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