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論文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원문정보

Independence Movement Fund Support of Kim, Gu-Ha who was the Abbot of Tongdosa(Temple) During Japanese Ruling Era

한동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m, Gu-Ha(1872-1965) is a figure who represents Korean modern Buddhist's community. He was the abbot of Tongdosa, Yangsan, South Gyungsang Provinc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Korea, and he took the lead at managing Tongdosa for 10 years since he was appointed as the abbot of Tongdosa in 1911. He has been evaluated that he newly transformed Tongdosa by securing finance stable and founding schools and Buddhist Lecture Halls and establishing Dharma Instruction Centerat various places. On the other hand, he resigned the position of the abbot in 1923 by being criticized as a corrupt monk who committed irregularities such as scandals with women and embezzlement of public money. His claim was that the case of embezzlement of public money was to support finance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young monks related with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criteria for historical evaluation on Kim, Gu-Ha who has the sigma of 'a corrupt abbot crossing over pro-Japanese and anti-Japanese'laid on the financial support of 13,000won for independence movement.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independence fund was for once and temporarily supported in the mutual insurance aspect of landlords or important figures at that time. However, Kim, Gu-Ha can be said that he offered a more active support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that he supported finance to 10 persons related with independence movement with his exact memory and consistency of his statement, and it's a fortune as much as 13,000won. Besides, the organization of Dong-A Buddhist Association at which Kim, Gu-Ha took the lead in May, 1920 has been understood that it had the feature of pro-Japanese but it can be said to be Buddhist organization with the nature of anti-Japanese connected with young monks such as Shin, Sang-Wan etc. related with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addition, Kim, Gu-Ha of Tongdosa who led Headquarters of the Order in the same side of young monks of Buddhist Association for reunification of Revitalizing Reform that claims the renovation of Buddhism had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with conservative Buddhist Clerks that reinforced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of the abbot of head temple. Therefore, until Headquarters of the Order was merged into Buddhist Clerks in 1924,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im, Gu-Ha showed pro-Japanese behavior. Simultaneously, it is also the fact that Kim, Gu-Ha wag gradually conservatized by the authority and power as an abbot of Tongdosa which is the main temple of a Buddhist sect. Sinc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e forgot the fact that the criticism for the system of Temple Act Promulgated and for the abbot of the main temple that enjoys the absolute power corresponded to himself as well.

한국어

김구하(1872~1965)는 한국 근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사찰인 경남 양산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그는 1911년 통도사 주지로 부임한 이래 10년간 통도사를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다. 재 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학교와 강원을 개설하고 각지에 포교당을 설 치함으로써 통도사를 새롭게 변모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여성과의 스캔들과 공금횡령 등의 비리를 저지른 비리 승려로 지 탄을 받으며 1925년 주지직을 사임하였다. 이러한 공금횡령 사건의 배 후에는 상해 임시정부와 관련한 청년승려들에게 독립운동 자금 지원 때 문이라는 것이 김구하의 주장이었다. 따라서 ‘친일과 항일을 넘나든 비리 주지’로 낙인찍힌 김구하에 대한 역사적 평가의 잣대 가운데 하나가 13,000원의 독립운동 자금지원의 진 실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지주나 유력 인사들은 상호보험적인 측면에서 일회적이고 한시 적으로 독립자금을 지원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김구하는 독립운동 관 련자 10명에게 자금을 지원한 점과 정확한 기억과 진술의 일관성, 그리 고 13,000원이라는 거금이라는 점에서 좀더 적극적인 독립운동 지원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1920년 5월 김구하가 주도한 동아불교회(東亞佛敎會)의 조직은 친일적 성격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상해 임시정부와 관련한 신상완 등 청년승려들과 연결된 항일운동적 불교단체라 할 수 있다. 또한 불교개혁을 주장하는 불교유신회의 청년승려들과 입장을 같이한 총무원(總務院)을 이끌었던 통도사의 김구하는 조선 총독부와 본산 주지 의 입장을 강화하는 보수적인 교무원(敎務院)과 갈등관계였다. 따라서 1924년 총무원이 교무원으로 흡수 통합될 때까지 김구하는 친일적인 행 태를 보였다고 보기 어렵다. 동시에 김구하는 대본산 통도사 주지로서의 권위와 권력에 의해 점차 보수화되어 간 것도 사실이다. 3.1운동 이후 사찰령 체제와 절대적 권력 을 향유하는 본산 주지에 대한 비판이 본인에게도 해당한다는 사실을 망각한 점이다.

목차

한글요약
 머리말
 Ⅰ. 근대 불교계와 김구하
  1. 원종 종무원의 참여와 중앙 진출
  2. 통도사 明新學校과 학감 김구하
  3. 대본산 통도사의 초대 주지
  4. 30본산연합사무소의 활동과 김구하
 Ⅱ. 김구하의 불교개혁 운동과 독립운동 자금 지원
  1. 통도사의 3.1운동
  2.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
  3. 독립운동 자금의 제공
  4. 동아불교회 조직과 성격
  5. 총무원 활동과 명고축출 사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동민 Han, Dong-Min. 수원박물관 학예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