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論文

The Concept of Donation : A Comparison between the Vedic and the Buddhist Traditions

원문정보

보시의 개념 : 베다전통과 불교전통의 비교

Myeong-Lim Cho

대각사상연구원 대각사상 제14집 2010.12 pp.213-24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uddhist Order is consisted on the four groups which are the monks(bhikṣu), nuns(bhikṣuṇī), laymen(upāsaka), and laywomen(upāsikā).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ṅgha and the laity could be maintained that a material gift would be reciprocated with preaching the Buddhist ethics which in turn might provide the gift to the donors throwing light on the fundamental economic action. The orig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ṅgha and the laity had existed on the basis of alms-giving. The alms were given in exchange for the instruction in Dhamma. It is believed that dāna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accumulating merit for laymen. The monks devote themselves to religious works while living by means of the requisites given him by laity. We usually believe that donors receive a merit such as better rebirths in future in exchange for their gifts. In return for gifts, saṅgha members traditionally have to make sure that their public behaviour and appearance conform to donors' expect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research about the donation on the aspects of religion in Vedic and Buddhist context. The present study try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donor and recipient in the context of alms-giving. We have dealt with the evolution of motives, fields of merit and the idea of rebirth in heaven as a result of gift-giving as is elucidated in the Theravāda and Mahāyāna texts. In the Vedic texts, gift-giving is commonly referred to as dāna and dakṣiṇā. In the later time,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his notion is expressed in the more frequent use of the word dakṣiṇā. This is done by a closer linking of gift-giving with the sacrificial ritual via dakṣiṇā. That is, dakṣiṇā was essentially a payment for priestly services rendered on the occasion of sacrifice, its payment was deemed absolutely compulsory and without it the sacrifice was considered incomplete. On the contrary, In Buddhism, gift-giving means giving generously and helping the renunciants and the poor. Buddhist texts imply that dāna is the donation of articles by the lay people to the Buddhist monastery involving no exchange.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dāna was related to the theory of merit and rebirth in heaven in the Buddhist texts. It is emphasized that the donor, the recipient and the donation item should be pure to make the true dāna. The Buddha taught that donor has to donate without attaching greed, anger and delusion. Further, Pāli texts mention the Buddha as well as the Saṅgha is the supreme worthy of receiving the offering. The Buddhist lay people provide material support for renouncers through dāna and alms, and in return get merit. The donor acquires greater merit by giving to the ‘fields of merit(puññakkhetta)’. In Buddhism it is believed that a good rebirth is achieved by accumulating meritorious works which are giving(dāna, 布施) morality(sīla, 持戒), and meditation(bhāvanā, 禪 定). Dāna comes first in the list of Ten Perfections(十波羅蜜) as well as Six Perfections(六波羅蜜) in the Buddhist texts. It is emphasized that one has to develop the perfection of dāna-pāramīta(布施波羅蜜) to become a Bodhisattva enlightened the bodhi-citta first of all. Dāna(charity) helps in the fulfillment of other pāramīs(perfections) such as khānti(patience) and mettā(loving- kindness). We can say that dāna is the main cause of flourishing of the Four brahma-vihāra-cittas(the Four Sublime States of Mind, 四無量心). In this way a sublime, profound dāna paves the way to mettā(loving kindness, 慈), karuṇā(compassion, 悲), and muditā( sympathetic joy, 喜), and further on to bhāvanā(meditation) for cultivation of upekkhā(捨). The generous are blessed with kusala-cetasika in this existence, and are also endowed with prosperity in the next existence. We should never neglect the virtue of dāna, which is so meritorious power as to expedite sentient beings to nibbāṇa.

한국어

불교교단은 사부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즉, 출가자와 재가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둘의 관계를 근본적인 경제행위에 비추어 본다면 재가자는 공양물을 올리고[財施] 출가자는 그 대가로 법을 베푼 다[法施]. 승단과 재가자의 관계는 탁발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다. 공 양을 받은 출가자는 붓다의 가르침을 베풀어 왔다. 재가자에게 보시행위 는 공덕을 쌓는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믿어왔다. 일반적으로 재가 자가 승단에 보시하면 공덕을 쌓게 되며 또한 미래생에 보다 나은 복덕 을 받는다고 한다. 물론 승단의 수행자들은 그들의 언행과 수행이 보시 자의 기대에 적합해야만 할 것이다. 본고는 베다문헌과 불교경전에 나타난 보시에 관한 연구이다. 종교적 측면에서 탁발과 관련하여 보시자와 수혜자간의 상호관련성에 대하여 밝 혀보고자 시도했다. 특히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에서 언급된 보시의 동기 부여와 복전사상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베다문헌에서, 시여는 다나 (dāna)와 닥시나(dakṣiṇā)로 언급된다. 하지만 이 개념은 후기에는 닥시 나로 더 많이 사용된다. 닥시나의 개념은 종교의식에 바쳐진 기부와 밀 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닥시나는 종교의식을 거행하는 사제에게 필수적으로 지급하는 수고비이고 이 수고비는 의무적으로 지급 된다. 게다가 종교의식 후 이 수고비를 지급하지 않으면 이 의식은 불완 전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반면에 불교에서의 보시는 출가자와 가난한 사람에게 관대하게 시여하 거나 돕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경전에 나타난 보시(dāna)의 개념은 불교 사원에 재가자가 보시물을 시여하는 것으로 특정한 목적을 갖지 않은 행위로 정 의하고 있다. 불교경전에 나타난 보시 개념은 공덕 및 생천사상 과 관련성이 있다. 한편 불교에서 말하는 진정한 보시는 보시자, 수혜자, 보시물이 청정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붓다는 “보시자는 삼독심[탐욕, 성냄, 어리석음]에 집착함이 없이 보시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팔리경전 에서는 “붓다와 상가는 공양받을 최고의 가치가 있다[福田].”라고 언급 한다. 이는 곧 불교에서 붓다와 상가는 최고의 복전임을 일컫는 말이다. 불교 신도들은 보시와 탁발을 통해서 출가자들에게 물질적 지원을 하게 되며 이 행위가 바로 공덕행이 된다고 믿는다. 즉 보시자는 복전에게 시 여함으로써 더 큰 공덕을 얻는다. 더욱이 불교에서 천상계에 태어나는 것은 보시(布施), 지계(持戒), 선정(禪定)의 공덕행을 쌓음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고 한다. 불교경전에서는 보시바라밀행이 십바라밀(十波羅蜜)과 육바라밀(十波 羅蜜)의 항목가운데에서 맨 처음 열거된다. 이는 바로 보리심을 깨치는 보살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먼저 보시바라밀행을 실천해야함을 강조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보시행은 사무량심의 실천을 촉진시키는 주요 요 소가 되기도 한다. 즉 한량없는 보시행은 사무량심 -자애심[慈], 자비심 [悲], 기뻐함[喜], 평정심[捨]- 의 수행을 위한 명상으로 관철된다고 볼 수 있다. 현생에서의 선행은 결국 미래생에서의 번영으로 이어진다. 따 라서 우리는 결코 보시행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이는 열반 으로 나아가는 복덕행의 힘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Gift-giving in the Vedic Context
 III. Dāna in the Buddhist Texts
 IV. Conclusion
 참고문헌
 한글요약

저자정보

  • Myeong-Lim Cho 조명림. INDO-KOREA CENTRE, EMPI BUSINESS SCHOOL, INDI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