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論文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원문정보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강대민, 이행구(도업)

대각사상연구원 대각사상 제14집 2010.12 pp.41-9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Japan intensified their aggression upon Chosun since the opening of her ports, the Buddhism in Chosun has been divided into two different streams: one is a anti-Japanese movement along with the defending the Buddhism struggle to protect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the other is to recognize the Japanese Buddhism actively to maintain the current affairs. Inevitably, the figures of Buddhism in the colonized Chosun had been forced to make a choice between them, and historians have assessed them in a diverse way till now. Majority studies must have been made on individuals and groups that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nd defended the Buddhism. However, many critics often used to regard these activities as something representing religious distinct characteristics or a means to secure their vested righ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e that the anti-Japanese movement by Buddhist leaders in those days had kept in tune with contemporary people who had a desire to be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of course, undeniable to acknowledge that the Buddhist activists were widely supported by organizational power and vested rights of Chosun Buddhism. But, what is more remarkable is that many young Buddhist activists who had acquired new knowledge out of conservative Buddhist traditions were produced. In particular, it is well known that personnels from Beomeosa Temple, Myeongjeong school and local schoo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dependent movement in Busan areas. Based on this historical f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1919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f Beomeosa Temple, and attempts to re-illuminate the process of their resistance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not from the simple viewpoint of Korean Buddhist histor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general.

한국어

불교계는 개항 이후 일제의 침입이 노골화되면서 부터는 두 가지 흐 름으로 분리되었는데, 하나는 전통불교를 수호하기 위한 호법투쟁과 함 께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는 항일운동의 흐름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일 본불교를 적극 수용하여 현실을 유지시키고, 안주하려는 방향이었다. 식민지였던 조선의 불교계 인사들은 필연적으로 양자의 흐름 중 택일 을 해야 했고, 그러한 선택을 하였던 인물들에 대한 평가는 지금도 역사 학자들의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 중에서 주를 이루는 것은 물론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며 불법수호를 위해 항일 민족운동을 전개한 인물 및 단체에 대한 연구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불교계, 혹은 종교계의 항일운동을 세속과는 격리된 집단들의 종 교적 특수성 및 기득권 확보를 위한 수단 중의 한 방법이라고 보는 견 해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각을 지양하고 불교계 인물들 의 항일독립운동 역시 동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항일독립의지와 함 께 호흡하고 행동하였음을 고증해보고자 한다. 물론 불교계 독립운동가 들의 활동 배경에는 기존의 불교계가 가지고 있었던 조직력과 기득권에 기인한 부분이 있었음도 부정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러한 보수적 기반에 뿌리를 둔 불교계에서 신지식을 습득한 젊 은 독립운동가들이 다수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범어사와 명정학교와 지방학림 등을 통하여 배출된 인물들은 추후 부산지역 독립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 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범어사라는 특정 공간을 한정하 여 범어사의 3.1운동이라는 전제를 선정하여 연구하되, 이를 단순한 한 국불교사의 시각이 아닌 한국근현대사라는 큰 흐름속의 사건으로 인식 하여 범어사가 일제시기 일제의 침략에 항거한 그 과정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머리말
 Ⅰ. 3.1운동 개관
  1. 3.1운동의 발발과 전개
  2. 3.1운동과 불교
  3.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Ⅱ. 범어사와 근대교육기관
  1. 근대교육기관의 성립배경
  2. 범어사의 근대교육기관 설립과 사회활동
 Ⅲ. 범어사의 3.1운동
  1. 부산지역의 3.1운동
  2. 범어사와 3.1운동
  3. 범어사 3.1운동 주동자문제
  4. 범어사 3.1운동 시기문제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범어사 3ㆍ1 운동의 재조명』의 논평

저자정보

  • 강대민 Kang Dae-Min. 경성대학교 사학과 교수.
  • 이행구(도업) 동국대 경주캠퍼스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