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문

한양과 수원화성을 통해 본 조선시대 전·후기 풍수학에서의 主山과 明堂論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Jusan(主山) and Myeongdang(明堂) Theory in Fungsuijiri at the Early and Later Joseon Dynasty through on Han Yang and Suwon Hwaseong

한양과 수원화성을 통해 본 조선시대 전·후기 풍수학에서의 주산과 명당론에 관한 연구

강우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regard to the location of Hwaseong Fortress,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ngsui approach method (divination by configuration of the ground) in early (14, 15 century) and later (18 century) Joseon Dynasty on the Fungsuijiri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figuring out the harmonic relation between nature, geometry, and humans) by mutually comparing Jusan (a guardian mountain) matter and Myeongdang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parts of Han Yang’s Fungsui, which has been largely controversial among its theo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classical interpretations about the relevant law of Jusan and Myeongdang were proved to matc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Jusan, the capacity of Jusan in capital is very important.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assign Mt. Baegak instead of Mt. Inwang as a Jusan of Hang Yang, but it seems proper from the Fungsuijiri aspects. There is no dissent that Mt. Paldal, a guardian mountain in Suwon Hwaseong, has great capacity as Jusan. The fact that palace site is located on the periphery, instead of the center, should not have been a problem due to the support from Mt. Sookji. In relation with Myeongdang theory, there is an argument that Gyeongbok Palace should be relocated to Seungmunwon site, but this gives emphasis on the relevant Jusan overlooking the important points of the theory that capital need to be wide and surrounded with water. In contrast, Suwon Hwaseung fortress is located on the back of Mt. Sookji. SinceJusan is high, selecting the foot of the mountain as the fortress site would have shifted the fortress forward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border with Yoochun stream. So, the decision probably was made to locate the fortress on the back of Mt. Sookji to use the Myeongdang widely and get Ki (energy flow) of its Jusan. When putting these facts together, the Suwon Hwaseong site is a propitious place having suitable conditions that corresponds to Fungsuijiri. It can be judged that the later Joseon had deeper understanding and higher applicability of Fungsuijiri than the early Joseon.

한국어

본 논문은 풍수이론 중에서 크게 논란이 되었던 主山 문제와 明堂 부분에 대하여 수원화성의 입지와 한양의 입지를 상호 비교하여 조선시대 전기(14~5세기)와 후기(18세기)의 풍수에 대한 접근방식에 대한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주산과 관련된 법칙이나 명당에 대한 법칙에 대한 고전의 해석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과 관련하여 도읍에서도 주산의 역량이 크게 중요하며, 한양에서 白岳山을 주산으로 하는 것보다 인왕산을 주산으로 하는 것이 異論이 있으나 풍수지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수원화성의 주산인 팔달산 은 주산으로서의 역량이 크다는 점에 대해서는 異論이 없으나 행궁터가 주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한 쪽 면으로 치우치고 있는 것은 龍의 餘氣가 만들어 놓은 숙지산이 뒷받침되어 문제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명당론과 관련하여 경복궁터를 승문원터로 옮겨야 한다는 논쟁에 대해서도 주산과 관련된 부분이 강조된 것으로 도읍에서는 명당 이 넓어야 되고 물이 環抱될 수 있어야 된다는 점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수원화성의 경우 주산이 높기 때문에 주산 아래를 명당으로 선정하는 경우 현재 행궁터보다 앞으로 많이 나와야 되는데 이럴 경우 앞에 흐르는 柳川을 만나게 되므로 명당을 넓게 사용하면서도 주산의 기를 받을 수 있도록 숙지산 뒤를 보호산으로 삼아 행궁터를 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하여 볼 때 수원화성터는 풍수지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합당한 조건을 갖춘 吉地로 판단된다. 이로 미루어 보면, 조선 전기 때보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풍수지리에 대한 이해가 깊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풍수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풍수지리학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1. 서론
 2. 主山과 明堂論
 2.1 도읍지의 주산
 2.2 主山과 明堂의 판단
 3. 한양과 수원화성의 主山
 3.1 한양의 주산논쟁
 3.2 수원화성의 주산론
 4. 한양과 수원화성의 명당론
 4.1 한양의 명당논쟁
 4.2 수원화성의 명당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우석 Kang, Woo-seuk.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