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방공기업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추정

원문정보

GRDP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in Korea

원구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GRDP shar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 Korea, and to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added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economic growth. As of 1995 through 2010, the GRDP shar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estimated to be average 0.33 percen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business operations management by its types, the GRDP shares of direct management type are estimated to be average 0.25% compared to 0.08% of indirect type. Also, this paper finds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alue added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economic growth. Several factors have affected the GRDP shares significantly such as rapid economic growth in private sectors, global economic crisis, and etc.

한국어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추정하는데 연구목적을 두 고 있다. 지방공기업은 1995년 232개, 2000년 281개, 2005년 313개, 2010년 382개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10년 결산기준으로 지방공기업의 예산 규모는 44조 7,356 억원으로 지방자치단체 총예산 149.8조원의 2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방공기업 총자산 이 147조 1,950억원에 이르고 있어 2010년 지역내총생산(1,172조 7,420억원)의 약 12.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지방공기업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약 0.33% 에 이르고 있어 국가공기업(3~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직 접경영방식의 부가가치 생산액이 간접경영방식보다 지역내총생산에 보다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업별로는 상수도사업, 공영개발사업, 하수도사업, 도시 개발사업, 지방공단, 기타공사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서울, 울산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방공기업과 지역내총생산과의 이론적 분석
  1. 지방공기업과 지역내총생산의 이론적 관계
  2. 지역내총생산과 지방공기업의 부가가치 측정
  3. 분석대상
 Ⅲ. 지방공기업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추정
  1. 지방공기업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추정
  2. 지역별ㆍ경영형태별 지방공기업과 지역내총생산
  3. 지방공기업의 부가가치 성장률과 지역내총생산과의 관계
 Ⅳ.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원구환 元求桓. 한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