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USLE를 활용한 만경강 상류지역에서의 토양침식량 산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oil Erosion Quantity Using USLE in the Upper Region of ManKyoung River Basin

이재혁, 심은증, 이연길, 김태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perform appropriateness analysis of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odel and to accumulate the data measured in field. The basin area of Bongdong station is 342.27㎢. This study simulated sediment outflows in the basin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simulated outputs with actual measurement values. Also annual rainfall was used to calculate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which can influence soil erosion. The calculation of annual average soil erosion was made by soil erosion maps. The maps with a resolution of (30m×30m) were created by multiplication of factors(R, LS, K, C, P) from ArcView Map Calculator. In this paper, it was shown that soil erosion was not occur in the most of basi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범용토양유실예측공식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축적하는데 있다. 봉동 수위관측소의 유역면적은 342.27㎢이며, 유역에서의 유사유출량을 모의하고 이를 실측치와의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양침식량 산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기 위해 연도별 강우사상을 활용하였고, 연평균토양침식량 산정을 위해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격자기반의 토양침식도를 생성하여 산정하였다. 토양침식도(30m×30m)는 강우침식인자(R), 지형인자(LS), 토양침식인자(K), 식생피복인자(C), 침식조절인자(P)를 ArcView Map Calculator에서 각각의 인자들을 곱하여 생성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유역에서 토양침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동향 및 내용
 2. 연구대상유역 선정
 3. USLE
  3.1 범용토양유실공식
  3.2 강우침식인자(R)
  3.3 토양침식인자(K)
  3.4 사면길이 및 경사도 인자(LS)
  3.5 피복지형인자(C)
  3.6 경작인자(P)
 4. 토양침식량 산정
  4.1 연평균 토양침식량 산정
  4.2 유사전달비 및 유사유출량 산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재혁 Jae Hyug Lee. 정회원ㆍ유량조사사업단 유량조사실 연구원
  • 심은증 Eun Jeung Shim. 정회원ㆍ유량조사사업단 품질정책실 선임연구원ㆍ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이연길 Yeon Kil Lee. 정회원ㆍ유량조사사업단 유사량조사실 책임연구원ㆍ공학박사
  • 김태웅 Tae Woong Kim. 정회원ㆍ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부교수ㆍ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