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통공예 기능 분류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이승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area of study, although it was not the main target, art history, aesthetics, Art (Fine Arts), folklore, general history can be said that they have an interest in the craft sector. However,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now, 70 years later, the craft category or classification criteria have not been made and never been even attempted by the realm of art history which has played the role of major study on craft. Of course, it is not the classification of craft, but there is the classification for the functional discriminant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made by the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complement for this. But there have been several arguments since the craft was classified into 7 parts of ceramics, metals, mokchil(color on wood), textiles, coat, paper, stone (material-centered and item-added) and it was too vague and too simple to be said there are desired outcomes. Although this paper is yet to seek the academic research or the efforts in the field, the craft category or classification criteria has been constantly asked and this research was launched on the basis of craft’s reality. I, as a researcher on this study, organized, synthesized and developed in earnest the fruits of the prestudy (basic characteristics of craft, the basic elements, the functional discrimination by the combining method for each process, etc.) which is only in this field. Maximize performance and lack of previous studies or missed points (A classification is basically a view of the world or knowledge system, especially, art and industry,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rafts of Korea called two-tiered classification system factors are reflected in the still The appearance segment) through the work to reinforce a more distinct than the previous studies was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However, the clarity about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target of this type of craft paper, which is the most basic materials, technology, process, and for the area that best matches should be limited to the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crafts and more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ver to the next task of the study was. Through this research activity, but the art and industry,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rafts as articulated in the area can be overcome sooner or later, because many have seen the future possibility of adding a comprehensive study ever craft a more structured system of classification is set will b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o develop a more solid structure iteurira is optimistic.

한국어

학문의 영역에서, 비록 주 대상은 아니었지만 공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분야는 미술사, 미학, 예술 학(미술학), 민속학, 일반 역사학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제 강정기로부터 70여년이 다 되가는 지금까지 공예의 분류 혹은 분류기준은 만들어 진 적이 없으며 공 예에 대한 주 연구 학문분야를 담당해오고 있는 미술사의 영역에서도 아직은 시도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공예에 대한 분류는 아니지만 정책적 필요에 의하여 문화재청에서 중요무형문화재의 기능을 변별하기 위한 분류가 있고 이를 보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성과가 있다고 하기에는 그 분류가 도자, 금속, 목칠, 섬유, 피모, 종이, 돌이라는 7종류라는 분류 기준으로(재료 중심에 품목 첨가) 다소 애매하고 너무 단순하기에 여러 논란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학술적 연구나 노력의 부재 속에서도, 현장에서는 끊임없이 그 필요성을 요구 받고 있는 공예의 분류 혹은 분류기준 연구를 시급한 현실의 과제로 인식하며 시작하였다. 본 연구자가 참여하였던 이 분야의 유일한 사전 연구의 성과물을 (공예의 기초적인 특질, 기본요소, 공정별 결합 방식에 따른 기능의 변별 등)본격적으로 종합하고 체계화하여 발전시켰다. 선행 연구의 성과를 최대한 활용하고 부 족하거나 놓쳤던 사항을 (분류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식체계이거나 세계관이라는 것, 특히, 예술과 산업, 전통과 현대라는 한국공예의 이원화된 요인이 분류체계에 그대로 반영되어 여전히 분절되는 모습) 보강하는 작업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보다는 좀 더 명료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기준에 대한 명료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분류의 대상을 공예의 가장 기본적 요 소인 재료, 기술, 공정에 대한 영역과 가장 잘 일치하는 전통공예의 기능으로 제한해야 했고 좀 더 포괄적인 분류는 차기 연구의 과제로 넘기기로 했다. 본 연구 활동을 통해서 예술과 산업, 전통과 현대로 분절된 공예의 영역이 극복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을 보았기 에 조만간에 있을 향후 추가적적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공예의 분류체계가 더욱 더 체계화되어 설정될 수 있을 것 이고 이를 기반으로 좀 더 단단한 구조적 분류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 낙관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연구의 배경
  1. 한국 공예의 현실
  2. 공예정책의 현황 : 제도의 흐름을 중심으로
 III. 공예분류체계의 기초 연구
  1. 기존분류체계의 분석
  2. 현 공예의 체계
  3. 분류체계 개발의 방향
 IV. 한국 전통공예 기능의 분류 案 제시
  1. 분류의 기준설정
  2. 한국 전통공예 기능 분류 案
 V.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주 Seung-Joo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부설 한국전통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