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질적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서 드러난 체육교육의 간극과 해소 전략

원문정보

A Strategy of Conflict Resolutions and Gap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throug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고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d elementary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pre-service teachers have experienced the content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training exercises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narrowing the gap and eliminate it as a strategy to explore ways that are purposeful. Participants in this study, pre-university teacher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9 workers. All of these words in October 2011 in the metropolitan area in early November, two weeks of practice teaching third grade students are performing. During these training exercises related to classroom happenings from researchers and their ideas freely requested to describe the physical education journals were collected as data, collected data and the Spradley (1979) analysis of the proposed area based on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pursuing confusion (Result-oriented vs procedure-oriented) has revealed. Second, the pursuit teachers' model(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likes a good teacher vs PE) was in the gap. Third, the ideal and reality, between(implicit knowledge vs knowledge in-use) had a gap. Fourth, the selection and options of the material new sports(not there even though vs I do not know) had difficulty. And their strategy to close gaps, navigate results, first, the PE should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right. Seco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course content. Third, the teaching method is a correct understanding.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가 경험한 교육대학에서의 수업내용과 현장의 교육실습을 통한 체육수업의 간극과 이를 좁히기 위한 해소 전략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참여자는 수도권 소재의 초등 예비교사 9명이다. 이들은 모두 2011년 10월 말과 11월 초에 수도권 지역에서 2주간의 교육실습을 경험한 S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이 교육실습 기간 동안 체육수업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사건이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기술한 체육수업일지를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학의 교육내용과 현장 간에 다양한 간극이 존재하고 있었다. 첫째, 추구하는 목표의 간극: 결과 지향 VS 과정 지향의 간극이 드러났다. 둘째, 추구하는 교사상의 간극: 체육을 좋아하는 교사 VS 체육을 잘 하는 교사 사이의 간극이 있었다. 셋째, 수업 구현의 간극: 이론 중심 VS 방법 중심의 간극이 있었다. 넷째, 수업교구 이해의 간극: 있어도 몰라 VS 없어서 몰라 사이의 간극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한 결과는 첫째, ‘초등체육 본질의 이해: 모르는 것에서 아는 것으로’, 둘째, ‘초등 현장과의 연계성 확보: 내용 이해 중심에서 지도 방법 중심으로’, 셋째, ‘초등체육 교수방법의 개선: 수업시연을 통한 현장과의 연계성으로’, 넷째, ‘초등학생의 이해: 학습대상자의 이해 관점을 주변에서 중심으로’ 등이 도출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및 진실성
 III. 연구결과 및 논의
  1. 체육교육의 간극(間陳)
  2. 체육교육 간극의 해소 전략
 I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고문수 Ko, Moon-Soo.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