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설업 실태분석을 통한 건설업생산성의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through Construction Status Analysis

Hong Tae Park, Jun Tai Jeon, Yang Kyu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s population change trend is the aging and feminization as Reduction in mortality, average life extension. and is further increased Reduction of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f Our country concluded FTA(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China etc. labor-intensive industries will be the decline. Then, the construction workers' jobs are continually reduced. This is critical to the nation'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due to Shortage of construction workforce and increasing labor costs. Eventually this is a major factor in reduced construction productivity. Therefore, this study is presented as a construction productivity development prospects on the value-added analysis per Labour productivity employee from Construction market trends, industry-specific productivity index, industry trends Employed, age tiered workforce trends, women's workforce trends, labor time trend, foreign workers, workforce trends, analysis of trends in construction contract, awarded by Company Size trends, construction management analysis index.

한국어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의 양상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여성화 추세이며, 더불어 출산율의 저화와 고령화 인구의 비율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어려운 인력수급으로 건설노무자는 외국인에 의해 충원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과 FTA의 체결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쇠퇴하면 건설노무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건설 기능인력의 부족현상과 기능 인력의 노무비 증가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건설업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업 생산성을 위해 최근 자료로부터 국내 건설경기 동향, 산업별 생산성 지수, 산업별 취업자 추이, 연령 계층별 기능인력 추이, 여성 기능 인력 추이, 노동시간 추이, 외국노동자 인력 추이, 건설업의 수주동향 분석, 업체규모별 수주동향, 건설경영분석 지표로부터 노동생산성에 관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분석으로 건설업생산성 발전전망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건설업 생산성 이론
  2.1 생산성의 개념
  2.2 산업별 생산성 지수의 정의
  2.3 건설 생산성 지표의 정의
  2.4 건설업 생산성 경영분석
 3. 건설경기 동향 분석
  3.1 국내 건설경기 동향
  3.2 건설 기술 인력 동향
  3.3 건설 기술 인력 고령화 추이
  3.4 여성 기술 인력 추이
  3.5 노동시간 추이
  3.6 건설 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현황
 4. 건설업 수주 동향 분석
  4.1 공종볕 수주 동향
  4.2 업체 규모별 수주 동향
  4.3 건설업 경영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Hong Tae Park Department of Givi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Jun Tai Jeon Department of Givil & Environmantal Engineering, Inha Technical College
  • Yang Kyu Lee Department of Givil Environmantal & civil Engineering, Daelim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