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Savoring, Happiness and Optimis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박수련, 김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avoring, happiness and optimis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the promotion of the happiness and optimis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495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10 prim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ment were the savoring test, the happiness test and the optimism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STATistics program(Kim & Baker, 2012).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in the savoring test, the happiness test and the optimism test.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avoring, happiness and optimis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voring and happiness(home environment, self-attributes, abil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level of p<0.001. An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savoring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60.70% for happines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voring and optimism(expectations for the future) at the level of p<0.001. An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savoring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66.51% for optimis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avoring has a high correlation to happiness and optimism. Happiness and optimism of children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savoring.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savoring program for children is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아동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향유하기가 행복 감 및 낙관성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행복감과 낙관성에 대한 향유하기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10개의 초등학 교 5, 6학년 아동 495명을 대상으로 향유하기 검사, 행복감 검사, 낙관성 검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향유하기, 행복감, 낙관성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행복감의 하위요인 (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 대인관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 유하기는 행복감의 60.70%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향유하기는 낙관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유하기는 낙관성의 66.51%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 다. 이상과 같이 향유하기와 행복감, 향유하기와 낙관성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 며, 향유하기가 행복감과 낙관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초 등학생의 행복감 및 낙관성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서의 향유하기의 중요성을 시사 하는 것으로, 아동의 향유하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향유하기 프로그램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연구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연구절차
  자료처리 및 분석
 연구 결과
  아동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 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향유하기, 행복감, 낙관성의 차이
  향유하기와 행복감의 관계
  향유하기와 낙관성의 관계
  행복감에 대한 향유하기의 설명력
  낙관성에 대한 향유하기의 설명력
 논의
  향유하기, 행복감, 낙관성의 성별 차이
  향유하기와 행복감의 관계
  향유하기와 낙관성의 관계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수련 Soo-Ryun Park. 서울도신초등학교
  • 김광수 Kwang-Soo Kim. 서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