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Fiscal Drag and Its Policy Implications

원문정보

재정장애의 개념적 고찰과 정책적 의의

Sung‐Kyu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scal drag refers to the effect that inflation has on average tax rates. If tax allowances are not increased in line with inflation, and taxpayers’ incomes increase with inflation, then they will be moved up into higher tax bands and so their tax bill will go up. In other words, fiscal drag refers to the increase in tax revenue caused when the threshold of a tax is not increased in line with either inflation or earnings growth. In general, fiscal drag refers to the process where tax thresholds are either not adjusted for inflation (nominal fiscal drag), or fail to keep pace with earnings growth (real fiscal drag), causing in either case an automatic rise in tax revenues. For instance, in a progressive tax system, a rise in inflation will cause wage earners to pay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income in tax, even though their real wages are unchanged; this is nominal fiscal drag. On the other hands, real fiscal drag occurs when all taxpayers pay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income in taxation, as a result of rising real wages. In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a rise in government tax revenues as a proportion of gross domestic product. Fiscal drag creates uneven tax burden. Recently, OECD (2007)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income, inflation and tax obligations in OECD countries. Notably, workers in several countries saw their nominal tax burden rise in response to high earnings growth. This phenomenon, known as “fiscal drag”, occurs in countries where tax rates increase as nominal taxable income rises. Workers are thus forced to pay higher taxes due to inflation or after experiencing increases in real income. Despite concerted legislative efforts to ease tax burdens, such high growth in earnings in many countries pushed enough workers into a higher income bracket to create ‘fiscal drag’. At present, the personal income tax thresholds in Korea are not indexed both to inflation and earnings growth. Thus, the tax rate schedule must be indexed in order to offset fiscal drag.

한국어

전통적으로 재정장애는 경제안정화 정책으로서 자동안정화 장치의 장기적 측면에서 비롯된다. 즉 완전고용 소득수준에서 자동적 신축성으로 인하여 재정흑자가 발생함으로써 경제활동이 위축(장애)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완전고용 흑자의 경제에 대한 위축적인 효과를 ‘재정장애’ (fiscal drag)라 부른다. 역사적으로 1950년대 하반기와 1960년대에 발생한 미국의 경기침체는 재정장애에 기인되었다고 평가된다. 재정장애는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하고 있다. 즉, 한편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세수의 자동적 증가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부가 세율변경 없이 세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많은 OECD 국가들은 세율인하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과 세원확대에 힘입어 세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또 하나의 세수증대 요인으로써 재정장애(재정견인)를 들 수 있다. 재정장애는 현실 세계에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의 큰 관심을 받지 못해 왔다. 그러나 최근 물가연동 소득세제 도입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며, 물가상승에 따라 소득세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득세율 구간을 물가지수에 연동해 자동 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들이 제기됨으로써 재정장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Fiscal Drag: A Basic Argument
 III. A Conceptual Framework of Fiscal Drag
 IV. The Effect of Fiscal Drag on Tax Revenue and Tax Burden
 V. Some Policy Implications
 V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ung‐Kyu Lee 이성규.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Andong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