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후기의 遊記와 樓亭記에 나타난 산수관과 글쓰기 양상 - 趙璥, 徐榮輔, 李晩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Writing aspect and the view of landscape of Yugi and Nujeong-gi in the late Chosun Dynasty

조선후기의 유기와 누정기에 나타난 산수관과 글쓰기 양상 - 조경, 서영보, 이만수를 중심으로 -

김광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Confucian scholar realize landscape for moral training. 16th century sarimpa is typical. But during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of Chosun Dynasty, Landscape gained popularity with Sadaebu and people. They produced numerous art works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Sansu-yugi, Nujeong-gi, Sanssouci, Landscape Painting. They expressed his feelings through Sansu poetry and found out old Culture through Sansu. Also, some people bragged themselves talking about their journey. Critical Sadaebu noted on any vitality Sansu. Jo gyeong, Seo young bo, Li man Soo were representative man of it. Pungaksan gi has countless work. ]Nevertheless, Li man Soo rated Pungak gi of Seo young bo as the best art. The previously Sansu-gi modelled Yong Zhou Ba Ji(永州八記) of Liu Zong-Yuan or RuShuJi of Lu You. They expressed their feelings in Sansu. And They described what they have seen and heard with a diary style. So, the main themes were geographical location, the view, myths, legends. however, Pungak gi of Seo young bo was the figuration of natural world charm. Pungak gi was a perfect picture of a well-constructed. Because he had comprehensive view of the overall Pungak mountain, he wrote a coherent sentence. He minutely described about more important things and wrote outlines about around them. About that historical context or architecture, he described simplest explanation. So he weakened the humanities element and eliminated ideological inclinations. When Li man Soo described Pungak's landscape, he emphasized sensiblel images. This was approached on the the nature of Sansu. The image represented with a repetitive form. The essence had helped readers realized by imagination. Also the structure of a sentence used a predicate+subject form. This shoud have any vitality.

한국어

유가의 산수 심미관은 산수를 심성수양의 공간이나 대상으로 인식한다. 이때 산수는 유가적 관념의 寓意的 매개체 역할을 한다. 16세기 사림파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영‧정조 시대에 이르러, 산수는 귀족사대부에서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유람의 공간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와 함께 山水遊記와 樓亭記, 山水詩, 山水畵, 山水畵帖 등 산수와 관련된 작품들이 다량으로 지어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 산수는 자신의 감정을 의탁하는 객체, 세속과 떨어진 한가한 공간, 예전 문화의 재발견 장소, 과시욕의 대상으로서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에 비판적인 사대부들은 살아있는 산수 자체에 주목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이 조경, 서영보, 이만수이다. 조경은 天의 관점에서 산수를 바라본 인물이다. 여기서 天은 인위적인 것을 배제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天의 오묘한 작용인 神은 氣를 통해 드러나기 마련이다. 산수자연은 氣의 聚散에 의해 각양각색의 物態를 드러내고, 작가는 자신과 하나로 융화된 산수자연을 문자로 표현한다. 문자, 특히 漢字는 고립어로 사물의 형태, 모양, 속성을 들어내는데 효과적이다. 이 가운데 산수자연의 모습을 이성의 개입 없이 가장 밀접하게 표현한 것이 形容疊語이다. 그리고 疏密과 斷續의 수사법은 산수의 曲折한 전체적 형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서영보와 이만수는 이러한 수사법을 적극 활용하여 산수의 생명력을 표현하였다. 서영보의 「풍악기󰡕는 인위적 요소, 즉 인문적 부분을 제외하고 산수자연의 천연스러운 모습을 형상화하는데 집중하였다. 「풍악기」는 금강산의 전체모습을 장악한 후에, 치밀한 문장구성과 출처있는 단어 사용으로 조리있게 묘사하였다. 대표적 수사법으로 ‘疏密’의 방법을 취하였다. 금강산의 전경을 하루에 보듯 서술하였기 때문에, 대표적 승경은 자세하게 주변의 것들은 간략하게 하였다. 또한 역사적 전고, 인위적 건축물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제외하여 인문적 요소를 약화시켰다. 議論의 개입도 차단하였는데, 이는 금강산에 대한 이념적 해석을 배제시킨 것이다. 이만수는 「취취헌기」에서 산수를 기록할 때, 대상의 감각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대상의 본질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이미지는 형용첩어를 통해 나타내고, 대상의 본질은 독자로 하여금 상상을 통해 깨닫게 하는 것이다. 문장의 구조도 주어+술어 형식이 아니라, 술어+주어 형식을 사용하였다. 대상 사물의 모양, 양태를 전면에 내세워 생명력을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조경의 산수관과 글쓰기 방법
 3. 서영보와 이만수의 글쓰기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섭 Kim, Kwangseub. 고려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