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Weng Shukun(翁樹崐)' 「Pingbaijita Shiwen(平百濟塔 釋文)」
옹수곤의 『평백제탑 석문』 연구
초록
영어
The writing called as Pingbaijita(平百濟塔), or Pingjita(平濟塔) is the one engraved on Pagoda body on the first flood of Buyeo Jeongrimsaji Ocheungseoktap(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now designated as the national treasure No. 9, in memory for the fact that Tang Dynasty brought Baekjae Dynasty(百濟) into the ground. The record on Pingbaijita first appeared on 『Xinzengdongguoyudishenglan(新增東國輿地勝覽)』 as Sudingfangbei(蘇定方碑), continuously attracting attention of lots of writers during Chosun Dynasty period(朝鮮). Also, the exchang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literati become active, the record became known even to Qing Dynasty literati, so that various Qing Dynasty literati got to possess the rubbing of this epitaph. Especially, Weng Shukun(翁樹崐), so of Weng Fanggang(翁方綱), got to know Pingbaijita through companionship with Chusa Kim Jeonghee(秋史 金正喜) and left Shiwen(釋文) with respect to that. Weng Shukun's 「Pingbaijita Shiwen」 housed in Hwasan Library(華山文庫), a Korea University(高麗大學校) Library, is the writing about which he asked Kim Jeonghee making research of Pingbaijita. This is materials that show the level of Jinshiwen(金石文) study as actively made in the later part of Chosun Dynasty period together with Pingbaijita Shiwen left by Yu Deukgong(柳得恭), Sung Haeeung(成海應), Han Chiyun(韓致奫), Kim Jeonghee(金正喜), et al. The materials also demonstrate an aspect of compan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later part of Chosun.
한국어
平百濟塔, 혹은 平濟塔은 당나라 蘇定方이 백제를 멸망시킨 기념으로 쓴 것으로, 현재 國寶 9호인 부여 定林寺址 五層石塔 1층 塔身에 새긴 글이다. 평백제탑에 대한 기록은 『新增東國輿地勝覽』에 蘇定方碑라는 명칭으로 처음 보이고, 조선시대에 여러 문인들에게 계속 관심을 받았다. 또한 18세기 조선과 청나라 문인들의 교유가 활발해지면서 청나라 문인들에게도 알려져, 이 비문의 탁본을 소장한 청나라 문인들도 많아졌다. 특히 청 고증학자 翁方綱의 아들 翁樹崐은 秋史 金正喜와의 교유를 통해 평백제탑 탁본을 받았고, 이에 대해 釋文을 남겼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華山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옹수곤의 「平百濟塔 釋文」은 그가 평백제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김정희에게 문의한 글이다. 이는 柳得恭, 成海應, 韓致奫, 金正喜 등이 남긴 평백제탑 釋文 등과 함께 조선후기에 활발히 이루어진 金石文 연구의 수준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조선후기 한중 문인 교유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목차
1. 서론
2. 平百濟塔에 대한 기록
3. 翁樹崐의 釋文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