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글판 Wolf Motor Function Test 기능점수와 일상생활활동 능력간의 상관관계

원문정보

Correlation Between Korean-WMFT Functional Scor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우희순, 박우권, 차태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unctional score of a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and the Modified Bathel Index (MBI),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cording to the WMFT functional scor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stroke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for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located in Ansan, Gyeonggi-do. The subjects were evaluated through WMFT and MBI. We compared the subjects’WMFT functional scores for their affected upper extremities, as well as the total and individual MBI scores. Results : Except for feeding, the WFMT score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thing, personal hygiene, using the toilet) that require upper extremity movement and fine motor skills of the hand. Conclusion : An exact evaluation and objective goal setting based on an evaluation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ies are important in stroke patients for functional recovery and an improvement in their independence regarding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WMFT.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만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글 판 울프 운동 기능 검사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기능점수와 일상생활 평가도구인 수정 바델 지수(Modified Bathel Index; MBI) 와의 영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경기도 안산지역에 위치한 전문재활병원에서 신체기능 증진을 위해 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뇌졸중 환자 100 명을 대상으로 WMFT와 MBI를 적용하여, 대상자의 환측 상지 WMFT 기능점수와 MBI의 총점 및 개별항목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 다양한 MBI 항목 중 상지의 전반적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목욕하기(r=.55), 개인위생(r=.52), 화장실 이용 (r=.50) 등의 일상생활항목에서 WMFT와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WMFT는 MBI 개별항목과 중등도(r=.50) 전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 회 복과 일상생활동작 수행의 독립성 향상을 위해 환측 상지의 기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평가에 근거한 객관적 목표 설정이 중요한 만큼, WMFT 활용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및 방법
  3. 검사 방법 및 측정 환경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항목별 WMFT 기능점수
  2. WMFT 항목별 기능점수와 MBI항목별 상관지수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우희순 Woo, Hee-Soon.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우권 Park, Woo-Kwon. 경복대학교 작업치료과
  • 차태현 Cha, Tae-Hyun.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