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haker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a Shaker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홍덕기, 김수경, 유두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a Shaker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dysphagia patients after suffering a stroke. Methods : Nineteen patients experiencing dysphagia after suffering a stroke performed a Shaker exercise for 30 minutes a day, 5 days a week, for 6 weeks. We conducted an initial Videofluroscopy, and 6 weeks later, conducted a second Videofluroscopy for an evaluation of the patients’swallowing fun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ew Videofluroscopic Swallowing Study scale (new VFSS scale) and American Speech- 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 System Swallowiing scale (ASHA NOMS scale) to determine the patients’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stage. Results : After the Shaker exercise was conducted, the patients dietary status in the pharyngeal stage significantly improved (p<.001). An itemized change in their swallowing fun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sidue in the valleculae, a reduced laryngeal elevation and epiglottic closure, residue in the pyriform sinuses, pharyngeal transit time, and aspiration (p<.01). All patients improved on the ASHA NOMS scale from 1 to 2 steps. Conclusion : A Shaker exercise improved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experiencing dysphagia after suffering a stroke. Therefore, a Shaker exercise can be easily applied and considered a useful treatment method in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dysphagi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Shaker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하장애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Shaker 운동을 6주 동안 주 5일, 하루 30분씩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로 비 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촬영한 후 신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 척도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 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 System Swallowing scale; ASHA NOMS scale) 를 사용하여 연하기능과 식이정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Shaker 운동 후에 식이별 구강기와 인두기의 연하기능 변화는 인두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인두기 세부항목별 변화는 후두개곡잔여물, 후두거상과 후두덮개폐쇄, 이상동잔여물, 인두통과시간, 흡인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모든 연구 대상자들은 ASHA NOMS 연하척도 단계에서 1∼2단계 향상되었다. 결론 : Shaker 운동은 뇌졸중으로 인한 인두기에 문제가 있는 연하장애 환자에게 식이단계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치료방 법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및 절차
  3. 연구 도구
  4. 치료 방법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신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 척도 점수 변화
  2. ASHA NOMS 연하척도에 따른 식이단계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덕기 Hong, Deok-Gi. 원광대학교 전주한방병원 작업치료실
  • 김수경 Kim, Su-Kyoung.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유두한 Yoo, Doo-Han. 전북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