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Narration of Audience focused on Change in Film Poster
초록
영어
A filmis a temporal art with a narrative structure. A poster has been developed within the territory of a graphic design. A film poster is having a film with temporality in a plane space. On the other hand, a film poster is being developed starting from a theater sign to an urban outdoor image. What is focused on as a valid point in the change of the film poster in this study is the enlargement of the place of the film poster. Then, the narration of the audience shown in the enlargement. The first analysis in this study is the change in the film poster. It is the change of the layout based on six different layout types in the Korean film poster from 1960s to 2010s. It is the analysis on thatthe unique narrative expression seen in the outdoor film poster began with a sign painter and on the characteristics shown at the turning point from the era of a theater painter to that of a designer by a multiplex. Secondly, it is on the narration of the audience. In a situation where a borderlin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bystander is disappearing through viewing of the audience who was born in a ‘visually’-stimulating urban environment and an outer wall of the city which turns into a screen, viewing is not only happening inside the theater and the audience expands the narration outside the theater as an ideological subje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the enlargement of the place and the narration of the audience in a film poster.
한국어
영화는 서사구조를 가지는 시간예술이다. 포스터는 그래픽디자인의 영역 안에서 발전해왔다. 영화포스터는 시간성을 가진 영화를 평면 공간 속에 담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영화포스터는 극장 간판에서 시작되어 도시의 옥외 이미지로서 발전해가고 있다. 이러한 영화포스터의 변화 속에서 본 연구가 중요한 지점으로 삼고 있는 것은 영화포스터의 장소적 확장이다. 그리고 그 확장 속에서 나타나는 관람자의 내레이션 활동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분석은 영화포스터의 변화로서,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한국영화포스터에서 나타나는 6가지의 유형을 통한 레이아웃의 변화이다. 또한 옥외 영화포스터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서사적 표현이 간판 화가에게서 비롯하였다는 것과 복합 상영관에 의해 극장 화가의 시대에서 디자이너의 시대로 접어드는 현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한 분석이다. 두 번째는 관람자의 내레이션 활동에 관한 것으로서, 유독‘시각’을 자극하고 있고 도시 환경 속에서 나타난 구경꾼의 관람과 스크린이 되어가는 도시의 외벽을 통해 관람자와 구경꾼의 경계가 사라지는 현상 속에서 관람은 더 이상 극장 내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관람자는 이데올로기적 주체로소 내레이션 활동을 극장 밖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화포스터의 장소적 확장과 관람자의 내레이션 활동의 의미에 대한 분석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영화포스터의 변화
2.1. 영화포스터의 레이아웃
2.2. 영화포스터의 서사성
2.3. 극장 간판에서 옥외 이미지로
3. 관람자의 내레이션
3.1. 구경꾼의 관람
3.2. 내레이션의 주체: 관람자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