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witter users' motives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rived motives on social capital and users' gratification, and to verify th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on the users' gratification in turn. The research model had a Cronbach's Alpha value of 0.7 and above, so its reliability was secured.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we carried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found that 9 factors excluding a dependent variable was extracted. We also used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 between variables. Conduct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hypothesis, we got the following results. The information seeking motive, the expressing esteem motive, the social interaction motive, the identity representation motive and the vogue motive affected users' gratification. And, on bonding social capital all the motives except the expressing esteem motive showed no effects. In addition, on bridging social capital the information seeking motive, the social interaction motive, the identity representation motive and the vogue motive statistically affected at a significant level. Both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statistically affected on users' gratification at a significant level.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현재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트위터의 이용 동기를 조사했고, 도출된 트위터 이용 동기가 서비스의 이용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자본 유형에 따른 이용 동기 간의 차이점을 검증 하였고, 사회적 자본 유형의 차이가 트위터 서비스의 이용 충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측정모형의 신뢰도는 Cronbach α 계수가 0.7이상으로 나타남으로써 확보되었다. 또 측정모형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단일 문항으로 구성한 종속변수를 제외하고, 원래 의도했던 9개 요인이 모두 추출되었다. 그리고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의 결과, 정보 추구, 자긍심 표출, 사회 상호작용, 정체성 표현, 유행성 동기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만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긍심 표출 동기를 제외하고는 유대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고, 정보 추구, 사회 상호작용, 정체성 표현, 유행성 동기 등은 교량적 사회적 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량적 사회적 자본뿐만 아니라 유대적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트위터 서비스의 이용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트위터
2. 사회적 자본
3. 이용과 충족 이론
Ⅲ.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과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가설의 설정
3. 조사대상과 자료수집방법
Ⅳ. 연구결과의 분석
1.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및 상관분석
2.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3. 가설검증의 결과
Ⅴ. 결론
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