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field of literature and painting in the history of Oriental culture has been developing with great mutual influence. Among others,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ainting developed early an idea of accordance in poetry and painting with similarity in description of landscape or closeness of meaning they intended to express. A poet like Wang Wei expressed words in writing poems as delicate as in drawing picture and also created an illusion in painting by showing indefinite inclination of the poet so appreciators felt as if they were reading a piece of poetry. Therefore, well-known lines were presented as a topic of painting when selecting government artists afterward and those who expressed an intended meaning of the lines the most were selected. This idea of accordance in poetry and painting was extensively transmitted to writers of future generations and this awareness is well displayed in literature which took its theme from painting or painting assessment which directly evaluated paintings. Those painting assessments were conducted as an extension of comments on literature which evaluated literary works and so were they in Goryeo Dynasty. Types of criticism on paintings in Goryeo Dynasty drawn from combining all aforementioned rel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y reviewed old meaning. Second, they structurally analyzed paintings. Second, they evaluated paintings by presenting standard of criticism. Fourth, they only described contents of paintings. Fifth, they assessed the meaning of paintings by introducing anecdotes. Sixth, articles on portraits rather commented on personality than were criticism on paintings. Study on clarifying these relations would serve as a foundation in further enriching art history in Goryeo Dynasty and as a clue with which younger students would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
한국어
문학과 그림의 영역은 동양문화사에서 있어서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달 해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詩와 畵의 관계는 그 寫景에 있어서 묘사의 유사성이나, 그것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意境’의 긴밀함으로 인하여, 일찍이 ‘詩畵一致’의 사상이 발달하였다. 王維와 같은 사람은 作詩를 함에 그 어구의 묘사가 마치 그림을 그리듯이 섬세하였고, 그림을 그림에 있어서도 景속에 무한한 시인의 意趣를 넣어 감상자들로 하여금 마치 한편의 시를 읽는 듯 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였다. 때문에 후대에 화원을 선발할 때에는 유명한 시구를 화제로 내어, 그 意境을 가장 잘 표현한 사람을 선발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시화일치의 사상은 후대의 문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전승되었고, 그림을 대상으로 한 문학작품이나 직접적으로 그림을 평가한 畵評 등에 이러한 인식들이 잘 나타나 있으며, 그러한 화평들은 문학작품을 품평한 詩評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경향은 고려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관계를 종합하여 도출된 고려시대 회화품평의 유형은, 첫째 古意를 되새겼다는 것이며, 둘째는 構造的으로 그림을 분석하였다는 것이며, 셋째는 비평의 기준을 제시하여 그림을 평했다는 것이며, 넷째는 그림의 내용만 묘사하였다는 것이며, 다섯째는 逸話를 소개하여 그림의 의미를 평했다는 것이며, 여섯째는 초상화에 관한 글들은 화평이라기보다 인품을 논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밝히는 작업들은 앞으로 고려시대 회화사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며, 후학들이 문학과 그림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고려시대 회화비평관
Ⅲ. 고려시대 회화비평의 유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