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양도성 지표ㆍ시ㆍ발굴 조사방법론

원문정보

Analysis and Investigation Methods of Hanyang, the Joseon Capital

민소리, 전보람, 손설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 lot of surveys and excavations have taken place within the city of Hanyang, which was located within the four main gates of old Seoul. Fortunately, the area has a wealth of maps, photographs, and cadastral maps. When conducting surveys in Seoul, it is very useful to use this material for research prior to investigation, as it can provide much valuable information. Drilling columnar sections into occupation layers can also serv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a variety of photography techniqu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a being within the four main gates of old Seoul,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undertake aerial photography of archaeological sites, compared to other areas. Thus, a variety of ways to overcome these conditions were proposed. In addition, given that many of the archaeological remains consist of large stone buildings, the usefulness of vertical photography which may produce photographs that may be measured are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o the actual drawing of these stone buildings which take up much of the researcher’s time. Finally, following the above discussions, field survey, preliminary excavation and excavation techniques are briefly examined..

한국어

최근 서울 4대문안 한양도성 내에서 지표조사ㆍ시굴ㆍ발굴조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 다. 서울은 지역의 특성상 고지도 및 사진자료, 지적원도, 토지대장 등이 잘 남아 있다.한양도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할 때에는 사전조사를 철저히 해두면 실전에 투입이 되었을 때 큰 도움이 될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시추주상도를 통 해 문화층을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다양한 사진촬영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서울 사대문안이라는 지 역적 특성상 많은 제한이 있기 때문에 타 지역에 비해 항공촬영을 하여 유적을 촬영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여건을 극복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식의 촬영 방법과 사 대문 안에서 주로 확인되는 건물지 유구의 특성상 규모가 크고 다수의 석재로 인하여 연구 원들의 실측으로 인한 시간낭비를 최소화 하기 위해 현장에서 소위 사진실측이라고 할 수 있는 직상방촬영의 유용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에 대하여 설명한 다음 지표ㆍ시굴ㆍ발굴조사 사례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 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양도성 조사방법의 특징
  1. 문헌자료
  2. 도면 및 사진 자료
  3. 사진자료의 기법과 활용
 Ⅲ. 한양도성의 지표·시굴·발굴조사 사례
  1. 지표조사
  2. 시굴·발굴조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소리 So-ri Min.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연구원
  • 전보람 Bo-ram Jeon.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연구원
  • 손설빈 Seol-bin Son. (재)대한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