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분분석을 이용한 강경천 하류지역의 고환경 복원

원문정보

Pala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Lower Reaches of Ganggyeongcheon Using Pollen Analysis

문영롱, 이정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laeo-environment of the lower reaches of Ganggyeongcheon, in Nonsan-si, Chungcheongnam-do, is reconstructed by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archaeological sites with pollen analysis. The formative ages of alluviums are estimated in this analysis based on correlations with previous works undertaken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and the study area. Pollen zone I (approximately 6,500 ~ 6,000 yr. BP) is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AP, due to the appearance of Alnus, Quercus and Castanea/Castanopsis which preferred warmer climates. The area appears to have been under swamp conditions at the time. Pollen zone II (approximately 6,000 ~ 3,500 yr. BP) shows the rapid increase of Quercus with the dominance of Alnus, which indicates swamp conditions that came to be exposed to open air, and that the appearance of aquatic plants ceased. Pollen zones I and II can be seen to correlate to the Neolithic Age but human activities cannot be traced, as archaeological evidence was found in the area. Pollen zone III (approximately 3,500 ~ 2,000 yr. BP) is dominated by Quercus and show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Alnus and Pinus, respectively. In the early phase of Zone III, which correlates to the Bronze Age, the area was still dominated by swamp conditions and land use was not active. The late phase of Zone III, which correlates to the early Iron Age/Proto-Three Kingdoms Period, shows the rapid decrease of Alnus. It can also be suggested that agricultural activities took place around the area based on the rapid increase of both Pinus and Gramineae,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human impact indicators. Moreover, the archaeological sites around the area are widespread, reflecting the active use of the alluvial plains. The pollen barren zone (approximately 2,000 ~ 0 yr. BP), which correlates to recent times, includes the historic period. It has limited absolute amounts of pollen due to poor organic contents, and this indicates sedimentary facies dominated by silt and sand fractions. This may suggest that land use was interrupted by floods or huge amounts of sediment supplies which came from the nearby hills which had poor vegetation cover. The results of the pollen analysis from the recently cultivated layers indicate the dominance of Pinus, and human impact indicators appear steadily through the whole horizon. These results well reflect the recent vegetation environments of the Nonsan area.

한국어

본 연구는 충남 논산시에 위치한 강경천 하류 충적평야 퇴적층인 고고학 발굴용 트렌 치에서 화분분석을 행하였다. 화분분석을 행한 퇴적층은 두께 4.19m 층준을 가지며 화분 분석 결과와 함께 발굴된 유물 및 일대의 유적분포를 통해 고환경 복원을 시도하였다. 화분 대 형성시기는 한반도 서해안의 화분분석 선행연구와 본 지역에서의 화분분석 결과와의 대비를 통해 추정하였다. 화분대Ⅰ시기(약 6,000~6,500년 BP)는 목본화분이 우점하며 특히, 오리나무 屬(Alnus) 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참나무 屬(Quercus)과 밤나무/모밀잣밤나무 屬 (Castanea/Castanopsis)이 증가하였다. 연구지역 일대는 저습지가 넓은 상태였으며, 이 시기는 온난, 습윤한 기후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분대 Ⅱ시기(약 6,000~3,500년 BP)는 오리나무 屬(Alnus)이 여전히 우세하지만, 화 분 다이아그램의 누적그래프에서 볼 때 포자(Spore)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크게 우점하였 다. 목본화분 가운데에는 참나무 屬(Quercus)이 급증하면서 기존의 습지에 주로 서식하던 오리나무숲이 점차 사라지고 이와 함께 수생식물도 감소하여 저습지가 점차 육화되어 감을 알 수 있다. 화분대 Ⅰ과 Ⅱ는 본 연구 발굴 결과 신석기시대와 대비되지만, 강경천 하류 부 기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분포에서는 이 시기에 해당하는 당시 인간활동의 흔적을 확인 하기 어렵다. 화분대 Ⅲ시기(약 3,500~2,000년 BP)에도 참나무 屬(Quercus)은 여전히 우점하지만, 오리나무 屬(Alnus)은 급감하고, 소나무 屬(Pinus)이 급증하는 대조적인 패턴이 나타난다. 화분대 Ⅲ시기 전기는 청동기시대에 대비되지만, 오리나무 屬(Alnus)의 높은 출현율로 볼 때 연구지역 일대는 여전히 습지 면적이 넓었고 따라서 토지이용이 활발하지 못하였을 것 이다. 화분대 Ⅲ시기 후기에는 초기철기/원삼국시대에 속하며 오리나무 숲이 거의 사라 지고, 반면 산지의 소나무 숲이 확대되었으며 강경천 하류 충적평야를 중심으로 벼 경작이 확대되었다. 유적의 분포도 확대되어 하천 충적평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였을 것이다. 화분 빈약층(약 2,000~0년 BP)은 실트와 모래 중심의 퇴적상으로서 유기물 함량이 낮 아서 화분 절대량이 매우 적다. 대부분 기간이 역사시대를 포함하고, 연구지역을 벗어난 상 류부 충적평야에서는 인간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인위적으로 훼손된 숲이나 구릉지 식생 피복이 불량해지고 다량의 토사가 지류천이나 상류로부터 운반 되어 과다한 퇴적물이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분석지점 트렌치의 퇴적속도가 빨라지 면서 강경천 하류지역에서 유적의 분포 밀도가 이전시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현재 경작층에서의 화분조성은 소나무 屬(Pinus)이 크게 우점하고, 참나무 屬(Quercus)은 급감하며, 오리나무 屬(Alnus)은 극히 낮은 출현율을 보인다. 초본화분/목본화분 비율이 1.0을 넘어 초본화분이 우세하며, 그 가운데 벼 科(Gramineae)가 우점하여 활발한 농경활동을 반 영한다. 또한 문화지표식물이 전 층준에서 꾸준히 나타나 현재 논산지역의 식생환경을 잘 반영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개관
  1. 연구지역
  2. 연구방법
 Ⅲ. 강경천 일대 선사 및 고대 유적의 공간분포
  1. 청동기시대
  2. 초기철기/원삼국시대
  3. 삼국시대
 Ⅳ. 강경천 하류지역의 홀로세 환경 변화
  1. 화분대 Ⅰ(해발 2.8~3.55m) : 오리나무 屬(Alnus) 우점기
  2. 화분대 Ⅱ(해발 3.55~4.15m) : 오리나무 屬(Alnus) - 참나무 屬(Quercus)우점기
  3. 화분대 Ⅲ(해발 4.15~4.97m) : 소나무 屬(Pinus) - 참나무 屬(Quercus)우점기
  4. 화분 빈약층(해발 4.97~5.95m)
  5. 현재 경작층(해발 5.95~6.5m) : 소나무 屬(Pinus) 우점기
 Ⅴ. 강경천 하류지역의 자연환경 및 인간활동 공간 변화
 Ⅵ.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문영롱 Young-rong Moon. (재)한국고고환경연구소 연구원
  • 이정범 Jung-bum Lee. (재)한국고고환경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